9일 시에 따르면, 김두겸 울산시장은 지난 6일 부산에서 열린 제4회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지원 의사를 밝혔다.
이번 회의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의 현지 실사 마지막 날에 맞춰 부산에서 열렸다.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국무총리, 기획재정부·교육부 장관과 국가균형발전위원장, 법제처장, 국무조정실장, 관련 국무위원, 17개 시도지사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각 시도지사들이 현안을 건의했지만 울산은 부산 지원에 집중키로 하고 별도의 건의는 하지 않았다.
세계박람회는 월드컵·올림픽과 함께 세계 3대 행사로 분류된다. 61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경제 효과는 물론, 개최국과 개최 도시의 품격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된다.
시는 부산이 세계박람회를 유치할 경우 울산에도 적지 않은 효과가 파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람회 방문객들이 인접한 울산을 찾아 숙박·관광 등에 낙수 효과가 발생하는 것은 예상 범위 내에 있다.
특히 유치가 확정될 경우 다양한 교통 인프라 확충이 뒤따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가덕도 신공항을 중심으로 부울경 광역 교통 인프라 신설 등에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이 수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에 시는 시 차원에서 인적·물적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물론 지역 기업에도 협조를 요청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시는 올 하반기 울산에서 열리는 동북아지역자치단체연합총회(NEAR)에서 참석 국가 및 도시들에 부산 지지를 당부한다. NEAR에는 6개국 79개 광역단체가 가입돼 있다.
시는 또 공적개발원조사업을 통해 해외에 파견하는 인력과 국내로 연수 오는 해외 인력 등에도 부산 유치를 집중 홍보하기로 했다. 10월 이전 울산에서 열리는 UN태풍위원회에 참가하는 14개국에도 부산 지지를 호소한다.
시는 조만간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본격적인 유치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김두겸 시장은 “울산도 동북아지역자치단체연합 총회와 UN 태풍위원회 등을 통해 유치 교섭 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지역 주력 기업들과 함께 유치 활동을 벌이는 등 공공과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인프라를 활용해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