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은 10일 김남국 의원을 둘러싼 거액의 가상자산 보유 논란을 수습하기 위해 당 차원에서 나섰다.
지도부는 이날 대구에서 진행한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의원에게 보유 중인 가상자산을 매각할 것을 권유하기로 결정하는 한편 자체 조사팀을 꾸려 김 의원에게 문제가 있는지를 규명하기로 했다.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매각 권유를) 본인도 따라줄 것으로 보인다. 코인의 경우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만큼 전문 지식을 가진 외부 전문가가 (조사팀에) 합류할 수 있다”고 전했다.
민주당은 그간 해당 논란을 두고 ‘법적인 문제는 없다’는 입장과 함께 당사자가 개인적으로 해명해 대응할 일이라는 태도를 취해 왔다.
그러나 김 의원의 해명에도 석연찮은 의혹들이 잇달아 나오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김 의원은 애초 가상화폐를 현금화한 것은 소액이라고 했지만 당 지도부에 소명할 때는 초기 투자대금인 9억8000만원을 예금계좌로 회수했다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에는 가상자산 업계에서 김 의원이 애초 알려진 80만개보다 더 많은 120만개의 ‘위믹스’ 코인을 보유했다는 의혹이 새롭게 나오기도 했다.
여기에 김 의원이 대선을 앞둔 지난해 2월 대체불가토큰(NFT) 기술을 활용한 ‘이재명 펀드’를 기획하고 출시한 것도 도마 위에 올랐다. 당시 해당 펀드 출시 발표 후 NFT 코인 시세가 올랐는데, 그 덕에 대표적인 NFT 테마 코인이던 ‘위믹스’를 보유한 김 의원이 이득을 본 건 이해충돌 논란을 털어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런 논란을 방치할 경우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에 이어 다시금 당 전체 도덕성에 큰 흠집이 나면서 내년 총선까지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결국 조기 수습을 위한 당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끌어낸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가상자산 문제는 최근 전국단위 선거에서 전체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 청년 표심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슈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당내에서조차 김 의원을 더는 엄호해줄 수만은 없다는 여론이 팽배해지는 분위기다.
이소영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김 의원은 문제가 처음 보도됐을 때 솔직하게 이야기했어야 하고, 이 정도의 가상자산을 갖고 있었으면 어떤 식으로든 이를 신고하고 공개하는 방법을 강구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이 페이스북을 통해 강도 높은 진상조사까지 자처하면서 당으로서는 자체 조사를 미룰 이유가 없었다는 시각도 있다.
당내에서는 이참에 가상자산과 관련한 법적 미비를 근본적으로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김두수기자·일부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