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의 ‘거액 코인 거래 의혹’으로 당 안팎의 비판여론이 고조되자, 책임을 지겠다며 스스로 당을 떠났지만 ‘스스로 잘린 꼬리가 된 것’이라는 비난 속에 더욱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확산되면서다. 비명(비이재명)계를 중심으로 ‘이재명 책임론’까지 거론되는 마당에 한동안 잠잠했던 계파 갈등의 양상도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다.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15일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김 의원이 탈당하기 전에 비해 본인의 협조 등이 더 필요하지만, 조사는 계속 진행될 것”이라고 했다. 당규에 따르면 윤리심판원은 탈당한 자에 대해서도 징계사유의 해당 여부와 징계 시효의 완성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당내에서는 이번 사태를 야기한 김 의원을 향한 비난이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김 의원은 이날 유튜브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상임위 회의 중 코인 거래를 했다는 의혹에 대해 “반성하고 성찰하고 있다. 몇천원 수준일 것”이라고 했다. 이에 비명계에선 상임위 도중 거래했다는 의심을 받는 내역이 한두 건이 아닌 데도 성의 없는 태도로 해명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당의 한 재선 의원은 “유튜브에 나가 그런 말을 한 게 정말 충격적”이라고 했다.
비명계는 코인 거래 의혹의 파장이 여기까지 온 것은 결국 이재명 대표가 그간 자신을 옹호했던 김 의원에게 단호한 태도를 취하지 못한 것이라는 의구심을 제기하는 모습이다.
‘불법적 요소가 없다’며 적극적인 조치를 내놓지 않는 등 이 대표를 비롯한 친명(친이재명)계 지도부의 초기 대응이 미숙한 탓에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과 당원, 의원 여러분, 당 구성원의 의지를 존중해 향후 강력한 혁신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했으나, 비명계는 그 의지를 평가절하했다.
비명계인 송갑석 최고위원은 회의에서 이 대표를 면전에 두고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 코인 논란 등의 문제를 대하는 우리 태도가 내로남불과 다르지 않았음을 인정하고, 우리 스스로 혁신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이 대표를 압박했다.
반면 친명계는 여전히 김 의원의 탈당을 결단으로 존중하는 한편, 이 대표를 옹호하는 듯한 태도를 견지해 비명계와 거센 갈등을 예고하게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