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는 15일 현대자동차 울산기술교육원에서 김두겸 시장, 김기환 시의장, 이동석 현대차 대표이사, 안현호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장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차 2030 울산 자동차 산업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지역 자동차 산업 생태계의 변화 속에 당사자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 및 사회적 대화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노동계, 경영계, 전문가, 정부 등 17개 기관의 대표 등이 참여해 구성됐다.
노동계는 한국노총 울산지역본부,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울산경주본부, 전국금속노동조합 울산지부,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 케이유엠 노동조합 등 6곳이 참여했다. 경영계는 울산상공회의소,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울산지역 금속산업 사용자협의회, 매곡산단 입주기업체 협의회 등 6곳, 전문가는 울산테크노파크, UNIST 등 2곳, 정부는 시, 시의회, 고용노동부 등 3곳이 참여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울산 자동차 산업 현재와 미래, 길을 찾다’라는 대주제 아래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이 ‘울산 자동차 산업의 현재와 미래’, 최영석 차지인 대표가 ‘전기 자동차(EV) 산업 전환에 따른 에너지 플랫폼의 변화와 스마트 시티’라는 주제 발표를 했다.
이항구 원장은 울산의 자동차 산업이 세계 미래차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현대차 중심의 미래차 공급망과 생태계 조기 조성, 미래차 전문 인력의 육성과 유지, 기술과 생산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 방식 및 협력의 장 마련, 기존 공급업체의 사업 전환과 다각화 촉진 등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최영석 대표는 다양한 형태의 미래 이동수단 등장으로 전기 에너지 시장에서 수요·공급의 불균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전기 사용 및 생산 유형 변화를 반영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망 구축을 위해 지능형 도시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자동차 산업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노동계, 경영계, 전문가, 정부 등 이해 당사자 모두의 참여와 협조가 필수”라며 “격의 없는 소통을 통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지역 사회가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문제 해결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