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봉투에 김남국까지…이재명 리더십 직격
상태바
돈봉투에 김남국까지…이재명 리더십 직격
  • 김두수 기자
  • 승인 2023.05.17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6일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장원리에서 열린 ‘청년농업 현장방문 및 간담회’에서 모내기 시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사면초가에 직면했다.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에다 최측근 김남국 의원의 ‘코인 논란’ 확산까지 겹치면서 이 대표의 리더십이 다시금 벼랑 끝에 섰다. 특히, 최근엔 당내 비주류 의원들 중심으로 이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사퇴론’이 확산되고 있는 모양새다.

당내 균열 양상은 무더기 이탈표가 쏟아졌던 ‘이재명 체포동의안 사태’ 때보다 더 심각하다는 게 당내 중론이다. 당시엔 소수 비명계가 ‘이재명 책임론’을 거론했지만 이번 사태를 두고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청년 표심 악화를 우려한 일부 중도파까지 가세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선 이낙연계인 박광온 의원이 새 원내대표로 선출되면서 비명계 목소리가 더 힘을 받게 됐다는 시각도 있다.

이번 사태를 둘러싼 지도부 책임론의 밑바탕에는 무엇보다 김 의원이 이 대표의 최측근 인사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 이 대표의 ‘제 식구 감싸기’가 지도부의 미온적 태도와 늑장 대응으로 이어져 위기를 더욱 키웠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이 대표의 수행실장을 맡았고, 원조 측근 그룹인 ‘7인회’ 멤버이기도 하다.

비명계인 조응천 의원은 16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남국 의원이 누구냐. 자타가 공인하는 이 대표의 최측근이다. 그런 사람이 비위에 연루돼 벌써 열흘 가까이 지났는데도 지도부는 제대로 맺고 끊고 하는 게 없다”고 비판했다. 다른 비명계 중진 의원 역시 “이 대표가 어떻게든 김 의원의 탈당을 막고 바로 징계 절차에 들어갔어야 했다. 그랬어야 당명을 어기고 탈당했다는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고 가세했다.

이 대표의 측근에 대한 온정주의 탓에 ‘징계회피용 탈당은 제명 또는 향후 5년간 복당할 수 없다’는 당규를 확실히 적용할 기회를 놓쳤다는 지적이다.

당의 늑장 대응을 꼬집는 목소리는 지도부 내에서도 나오고 있다.

당 고위 관계자는 “돈 봉투 사건에서는 하루 이틀 늦긴 했지만, 이 대표가 과감하게 사과하고 초기 대응을 잘했다. 그러나 이번 건은 초반에 너무 우유부단했다. 대응이 늦었던 게 사실”이라고 했다.

비명계 일각에선 사태 책임을 지고 이 대표는 물론 친명(친이재명)계가 다수인 최고위원들까지 총사퇴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비명계 한 초선 의원은 “후폭풍이 이렇게 큰 데도 지도부가 정신을 못 차리고 있다. 국회 윤리특위 제소 주장이 그리 많았는데 왜 결의문에서 쏙 뺀 것이냐. 쇄신의 모습을 보여주려면 지도부가 모두 물러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김남국 사태’를 두고 고질적 계파 갈등이 재현하는 것은 물론 강성 당원들의 비명계를 향한 ‘공격’이 재개되는 등 내홍 역시 깊어지는 양상이다. 김두수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