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에다 최측근 김남국 의원의 ‘코인 논란’ 확산까지 겹치면서 이 대표의 리더십이 다시금 벼랑 끝에 섰다. 특히, 최근엔 당내 비주류 의원들 중심으로 이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사퇴론’이 확산되고 있는 모양새다.
당내 균열 양상은 무더기 이탈표가 쏟아졌던 ‘이재명 체포동의안 사태’ 때보다 더 심각하다는 게 당내 중론이다. 당시엔 소수 비명계가 ‘이재명 책임론’을 거론했지만 이번 사태를 두고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청년 표심 악화를 우려한 일부 중도파까지 가세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선 이낙연계인 박광온 의원이 새 원내대표로 선출되면서 비명계 목소리가 더 힘을 받게 됐다는 시각도 있다.
이번 사태를 둘러싼 지도부 책임론의 밑바탕에는 무엇보다 김 의원이 이 대표의 최측근 인사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 이 대표의 ‘제 식구 감싸기’가 지도부의 미온적 태도와 늑장 대응으로 이어져 위기를 더욱 키웠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이 대표의 수행실장을 맡았고, 원조 측근 그룹인 ‘7인회’ 멤버이기도 하다.
비명계인 조응천 의원은 16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남국 의원이 누구냐. 자타가 공인하는 이 대표의 최측근이다. 그런 사람이 비위에 연루돼 벌써 열흘 가까이 지났는데도 지도부는 제대로 맺고 끊고 하는 게 없다”고 비판했다. 다른 비명계 중진 의원 역시 “이 대표가 어떻게든 김 의원의 탈당을 막고 바로 징계 절차에 들어갔어야 했다. 그랬어야 당명을 어기고 탈당했다는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고 가세했다.
이 대표의 측근에 대한 온정주의 탓에 ‘징계회피용 탈당은 제명 또는 향후 5년간 복당할 수 없다’는 당규를 확실히 적용할 기회를 놓쳤다는 지적이다.
당의 늑장 대응을 꼬집는 목소리는 지도부 내에서도 나오고 있다.
당 고위 관계자는 “돈 봉투 사건에서는 하루 이틀 늦긴 했지만, 이 대표가 과감하게 사과하고 초기 대응을 잘했다. 그러나 이번 건은 초반에 너무 우유부단했다. 대응이 늦었던 게 사실”이라고 했다.
비명계 일각에선 사태 책임을 지고 이 대표는 물론 친명(친이재명)계가 다수인 최고위원들까지 총사퇴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비명계 한 초선 의원은 “후폭풍이 이렇게 큰 데도 지도부가 정신을 못 차리고 있다. 국회 윤리특위 제소 주장이 그리 많았는데 왜 결의문에서 쏙 뺀 것이냐. 쇄신의 모습을 보여주려면 지도부가 모두 물러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김남국 사태’를 두고 고질적 계파 갈등이 재현하는 것은 물론 강성 당원들의 비명계를 향한 ‘공격’이 재개되는 등 내홍 역시 깊어지는 양상이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