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대표는 이날 서울 영등포구 마약퇴치운동본부 중독재활센터에서 개최한 청소년 마약 중독 대책 마련 현장 간담회에서 청소년 마약 대책에 대해 “무엇보다도 철저한 수사와 예방, 교육, 치유, 사회로 복귀할 수 있는 재활프로그램 등의 연동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김 대표는 이어 과거 일탈성 범죄로 인식됐던 마약 범죄가 최근 일상까지 파고들었고, 그 과정에서 청소년의 마약 범죄도 급증했다며 “관계 당국이 이에 대한 충분한 대비나 대책을 세우지 못했다는 커다란 책임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청소년들이 마약에 노출돼 가정과 인생이 파괴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성인으로서, 정치인으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마약을 뿌리 뽑으려면 공급과 수요를 다 차단해야 한다. 월급을 다 털어 넣어도 마약 사기 어려울 정도로 공급망을 차단하고, 또 마약 자체를 멀리하도록 수요를 없애는 것도 중요할 것”이라고 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마약 중독 치료자들은 단속·처벌 강화보다 치료·재활·회복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김두수기자·일부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