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에 입사한지 일주일여만인 지난달 25일 태국 국적 노동자 7명이 무단 이탈했다. 비슷한 시기 HD현대중공업 협력업체 외국 인력 2명도 이탈했다. 이들 모두는 E-7 비자를 취득해 입국했는데 앞서 2월에도 E-7 비자 태국 인력 4명이 무단 이탈한지 3개월여만이다. 지난해 9월에도 30여명의 인력이 대거 이탈하기도 했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출입국·외국인사무소에 신고해 이들의 소재지를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잇따르는 무단 이탈에 대해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입국한 노동자들이 숙련공이라고 하지만, 당장 용접 등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며 “학사학위 등을 받은 무경력 인력들은 조선업 강도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있어 이탈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E-7 비자로 입국한 인력은 전년 국민총소득(GNI) 80% 수준의 임금(월 270만원 상당)을 받으며, 5년 후 영주비자로도 전환할 수 있는 등 선호도가 높다. 지난해 정부가 해당 비자의 요건 중에서 2025년 1월께까지 한시적으로 학사 소지자의 경우 업종·직무 1년 이상 경력 요건을 유예하고, 전문학사 소지자는 기존 5년의 경력에서 2년으로 낮추는 등의 조치를 하면서 진입장벽이 낮아졌다는 평가다. 완화된 취득 요건이 이탈의 원인 중 하나라는 주장이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금번 이탈은 근무 조건 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일부 외국인 근로자들의 개인적 일탈로 보여진다”며 “외국인 근로자들의 조기 정착을 위해 통역 지원 및 고충 상담, 기숙사와 글로벌 식단 제공 등 다양한 복지책을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외국인 인력에 대한 사후관리 등은 사업주체가 맡고 있다. 현재 동구지역 외국인 인력 2000여명에다 올해 추가로 2000여명의 입국이 계획돼 있어 외국 인력의 이탈 문제 등이 반복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해 지자체 등 차원의 사회안전망 구축 강화 등 필요성도 제기된다.
동구 관계자는 “외국인력에 대한 인구추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다”면서 “구청·경찰·법무부에서 현안 공유를 지속 추진하고 있으며, 나아가 외국 인력 관리 방안에 대한 실무협의체도 구성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