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석유화학 산업의 원료인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신기술을 적용한 공장이 울산에 들어섰다. 경제성 확보는 물론 합성가스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감축해 탄소중립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부흥산업사는 지난 5일 남구 황성동 울산공장에서 안효대 경제부시장과 이영국 한국화학연구원장, 이형락 울산항만공사 부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CO2 활용 건식개질 플랜트’ 완공식을 열었다.
부흥산업사는 한국화학연구원이 확보한 기술을 이전받아 연간 8000t의 합성가스 생산이 가능한 세계 최대 규모의 CO2 활용 건식개질 플랜트를 구축했다.
수소와 일산화탄소로 이뤄진 합성가스는 암모니아, 알코올, 플라스틱 등 다양한 화학 원료의 필수 핵심 물질이다. 그러나 석유화학 산업에서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기존 기술들은 모두 온실가스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CO2를 합성가스로 제조하는 건식개질 기술의 핵심 원천 촉매와 공정을 개발해 세계 최고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보이는 합성가스 제조 기술을 확보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1t의 일산화탄소를 생산할 때 1.053t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게 된다.
한국화학연구원이 확보한 기술은 세계 각국에서 시도 중이지만 아직 개발되지 않은 원천 기술로 상용화가 가능한 안정적인 성능을 가진다. 소재부터 공정에 이르기까지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돼 더욱 의미가 있다.
부흥산업사는 구축된 건식개질 플랜트를 운영해 온실가스 감축형 일산화탄소를 활용한 고순도 초산, 폴리케톤 등의 시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또 후속 연구를 통해 촉매 효율을 높이고 공정을 최적화해 기존 석유화학 유래 제품 대비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극대화하고 경제성도 제고할 계획이다.
안효대 울산시 경제부시장은 “우리 시는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전기자동차와 이차전지 및 수소산업 등 미래 신성장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어 친환경 가스를 생산하는 부흥산업사에게는 좋은 기회의 장이 될 것”이라며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입지의 적기 공급, 다양한 투자 인센티브 지원을 통한 전략적 투자 유치 등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