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7일 발표한 ‘대학 등록금 및 사립대학교 운영 손익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비수도권 사립대 91개교 가운데 81.3%인 74개교의 운영수지가 적자로 나타났다.
33.3%였던 2011년과 견주면 운영수지 적자를 본 비수도권 사립대 비율은 10년 만에 48.0%p 확대됐다. 특히 중규모 학교의 타격이 컸다.
재학생 수 5000명 이상 1만명 미만인 중규모 비수도권 사립대는 87.9%가 적자에 시달렸다. 2011년(21.4%)보다 66.5%p 상승한 수준이다.
재학생 1만명 이상인 대규모 비수도권 사립대 중에선 64.7%가 적자를 봤고, 재학생 5000명 미만인 소규모 비수도권 사립대에선 82.9%가 적자를 나타냈다.
수도권 사립대에선 70.8%가 운영수지 적자를 나타냈다. 2011년(23.1%)보다 47.7%p 확대됐다.
2021년 사립대 1개교당 평균 운영수지를 보면 비수도권 사립대는 15억4000만원 적자, 수도권 사립대는 2억4000만원 적자를 보였다.
대학들이 적자에 시달리는 것은 주요 수입원인 등록금이 2009년부터 동결됐기 때문이라고 대교협은 지적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