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는 지난달 31일 서울에서 벌어진 북한 우주발사체 재난문자 소동에 집 근처 대피소를 찾았다. 남구 신정 1동 주변으로 대피소 4곳을 확인했다. 하지만 도로명 주소로 검색하자 신규 도로명은 반영이 되지 않았다. 주소와 가까운 도로명 주소를 기입하자 앞선 대피장소와 달라지기도 했다.
A씨는 “긴급상황이었다면 한시가 급한 것 아닌가. 심지어 지인은 대피장소도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 말했다.
울산 한 커뮤니티에서도 대피시설 위치와 종류를 묻는 글이 게시됐다. 댓글에는 ‘잘 모르겠다’거나 ‘시에 물어봐라’는 내용이 다수를 이뤘다.
대피시설은 재난 상황별로 분류되고 있다. 공습 등의 상황은 민방위 대피시설로, 화학·원전 등 사고도 각각 별도의 대피시설을 두고 있다.
때문에 울산시는 재난상황 발생 시 상황 판단 후 재난문자를 일괄 발송하고 있다. 재난문자에는 주변 대피소를 찾을 수 있는 링크나 앱 정보가 담긴다.
시민들은 회의적인 시선이다. 이명진(34)씨는 “만약 앱이나 링크 사용시 인원이 몰려 먹통이 되면 어떻게 해야하느냐”며 “부모님들은 연로하셔서 재난문자를 받아도 작동방법을 몰라 대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전디딤돌 앱에서 ‘내위치 주변’으로 대피소를 조회할 수 있지만 앱 자체를 모르거나 작동방법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도 다수다. 대피시설 존재조차 모르는 시민도 있어 연령대별 활용도를 높이고 안내 체계를 세분화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울산 내 민방위 대피시설은 모두 483곳이 있다. 대부분 공동주택·공공기관 등 중대형 건물 지하 주차장이다.
111만663명 대비 수용률은 305.4%다. 수용인원도 339만1787명에 달하지만 현실적으로 5분 이내 대피 거리 안에 대피소가 마련되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다.
이에 울산시는 “재난별 상황에 따라 대피장소와 수용시설이 분류되고 있다보니 구체적인 대피장소를 안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 “중앙 지침이 변경 중에 있어 변경사항에 따라 울산시도 보강·개선 들어갈 예정이다”고 밝혔다.
강민형기자 min007@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