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전기료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건설 자잿값도 인상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전기료 인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철강과 시멘트 업계가 제조원가 상승을 이유로 가격 인상을 고심하고 있어 건설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올해 2분기 적용 대상 전기요금을 ㎾h(킬로와트시)당 8원 인상했다.
산업용 전기료는 지난해 12.5% 인상에 이어 올해 1분기 24.95% 올랐다. 업계에서는 2분기 전기료 인상을 포함하면 2021년과 비교해 전기료가 약 50% 인상된 것으로 보고 있다.
시멘트업계는 제조 원가의 20%가량을 차지하는 전기료가 인상되자 시멘트 가격 인상을 추진 중이다. 업계에 따르면 쌍용C&E와 성신양회는 최근 수요처인 레미콘 업계에 시멘트 가격 인상 계획을 통보했다.
시멘트 업계는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판매가를 인상했지만, 전기료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물류비와 환경부담금, 인건비 등이 올라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를 두고 건설·레미콘 업계의 반발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레미콘 재료인 시멘트 가격이 오르면 레미콘 가격도 상승하고 결국 공사비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지역의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당장 공사가 진행 중인 건설현장에는 시멘트가격 인상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미 공급계약이 체결돼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으로 계약할 공사장들이 문제다. 특히 중소형건설사의 경우 수익성 악화를 크게 걱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레미콘·건설업계에서는 시멘트 제조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이 차츰 안정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전기료가 인상되더라도 시멘트 가격이 낮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유연탄 가격은 호주산을 기준으로 지난해 400달러 수준까지 올랐으나 올해 150달러수준으로 떨어졌다.
울산의 한 레미콘업체 관계자는 “작년에 시멘트 가격이 오른 건 원료로 쓰이는 유연탄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올해들어 가격이 3분의 1수준으로 떨어졌다”면서 “이를 반영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가격을 올리는 것은 부당하다”고 토로했다.
주요 건자재 중 하나인 철강 업계도 전기료 인상에 따라 전력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가격 인상을 고심하고 있다. 다만 국내 건설 경기 침체로 철근 내수 판매량이 감소하고 있어 가격 인상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주요 건자재는 연 단위로 계약하는 만큼 당장 타격이 있지는 않다. 하지만 지난해처럼 하도급 업체가 계약 단가 인상 등을 요구한다면 공사 일정에도 차질을 빚을 것”이라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