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울산시와 울주군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2월27일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의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조건부 동의로 결정한 데 이어 영남알프스 케이블카의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들어갔다.
환경부 산하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지난 3월께부터 영남알프크 케이블카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 협의를 시작했다. 군은 민간사업자와 함께 낙동강환경청의 요청에 따라 초안 보완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군은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주 개수를 기존 4개에서 3개로 줄이는 등 해법을 마련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유제철 환경부 차관이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주관하는 낙동강환경청 관계자들과 함께 지난 17일 영남알프스 케이블카의 하부 정류장이 들어서게 되는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 일원을 방문키로 해 관심이 모아졌으나 방문 사실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이틀 전 비공개로 일정을 전환했고, 이후에도 방문 문의가 이어지자 결국 방문을 취소했다.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의 전략환경영향평가가 조건부 동의로 완료된 뒤 환경단체 등의 비판적인 여론이 일었고, 이후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쪽으로 환경단체 등의 눈길이 쏠리자 이를 감안한 행보로 해석된다.
군은 초안 협의가 완료되면 곧바로 낙동강환경청과 전략환경영향평가 본안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 사업의 성패는 낙동강환경청이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군은 민선 6기 당시 영남알프스 행복 케이블카 사업을 공영 개발로 추진했다. 그러나 상부정류장 부지가 낙동정맥 구간에 포함돼 식생 군락 훼손 등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낙동강환경청이 부동의 의견을 내면서 좌초된 바 있다. 이에 새로운 민간사업자인 영남알프스케이블카(주)는 상부 정류장 위치를 변경해 사업을 추진 중이다.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사업이 본격적인 수순을 밟는 반면 대왕암공원 해상 케이블카 사업은 행정 절차 완료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착공 시점이 불투명하다.
대왕암공원 해상 케이블카 사업은 영남알프스 케이블카와 달리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이 아닌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대상이어서 일찌감치 평가 절차를 완료했다.
이어 사업자인 대명건설은 이달 중 실시계획인가를 신청하면서 행정 절차를 완료할 예정이다.
대왕암공원 해상 케이블카 사업의 착공 시점이 불투명한 이유는 지난해부터 지속되고 있는 고금리 여파 때문이다. 사업 구상 시점보다 배 이상 오른 금리로는 프로젝트 파이낸싱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할 경우 사업성이 극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외부 사정이 좋지 않지만 올 연말까지 대왕암공원 케이블카 사업이 착공할 수 있도록 대명건설 측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