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공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학교·지역별 개설과목 편차가 큰 점을 감안해 현재 4개인 공립 온라인학교를 2025년까지 17개로 확대해 공동 교육과정을 늘리기로 했다. 지역 고교학점제 지원센터도 설치해 ‘고교-대학-기업’의 협력도 강화한다.
교과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초등학교 3학년과 중등교육을 시작하는 중학교 1학년의 학습을 돕고자 이들 학년은 ‘책임 교육 학년’으로 지정한다. 교육부는 학년 초 성취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에 초3·중1 학생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각 시도교육청에 권고하기로 했다. 참여 여부를 교육청 평가에 반영하기로 한 만큼 대부분 교육청이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부터는 ‘학습도약 계절학기’를 도입해 방학을 이용한 기초학력 보충학습을 시행하고, 중1 학생은 자유학기제 취지를 고려해 진로·적성진단과 진로 탐색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 밖에 지난 정부에서 일반고로 전환하기로 했던 자사고·외고·국제고는 존치하기로 하고, 관련 시행령을 올해 말까지 개정할 예정이다. 기존 외고와 국제고가 희망하는 경우 ‘국제외국어고’(가칭)로 전환해 두 학교 체제의 교육과정을 함께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