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11~31일 전국 343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응답 기업들은 중국 리오프닝이 수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아직까지 제한적이지만 올해 하반기부터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설문에 참여한 기업 56.3%는 중국 봉쇄조치가 있던 지난해 3월 이전 수준으로 수출이 회복됐거나 올해 중 회복될 것으로 답변했다. 반면 응답 기업의 31%는 내년 이후 회복할 것으로 봤고, 12.7%는 내년 하반기 이후에도 수출이 완전히 회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2차전지, 조선, 자동차 및 부품, 철강 등은 대부분 수출이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석유화학, 기계, 휴대폰 및 부품, 디스플레이, 정보기기, 반도체 순으로 수출이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문제는 중국과 경합도가 높은 정보통신(IT) 업종 회복이 늦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반도체 업체 과반수는 내년 하반기 이후에도 수출이 중국 봉쇄조치 이전 수준으로 완전히 회복하기 어렵다고 봤다. 글로벌 수요 악화, 미국·유럽 자국 우선주의 정책 등 구조적 요인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업체들은 중국 리오프닝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이 향후 수출 회복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리오프닝이 오히려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 셈이다.
한은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기업 생산 계획이 축소되거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중국 기업의 기술 경쟁력에 대한 대비도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