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7일 ‘2024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발표했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자에게 부여되는 점수)을 보면 국어 영역은 136점, 수학 151점으로 지난해 치러진 2023학년도 수능보다 각각 2점, 6점씩 상승했다.
표준점수 최고점으로 놓고 보면 국어는 6월 모의평가 기준으로 최근 8년새 가장 쉽게 출제됐고 수학은 최근 8년새 가장 어렵게 출제됐다. 표준점수는 자신의 원점수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통상 난이도가 높을수록 표준점수 최고점 역시 상승한다.
이번 6월 모의평가는 교육부 대입 국장 경질과 평가원장 사임 등을 불러일으킨 ‘사교육 카르텔 논란‘의 발단이 된 시험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3월부터 ‘킬러 문항’ 배제 지시를 내렸지만 이후 처음 치러진 평가원 수능 모의평가에서 킬러 문항이 또 다시 출제됐다는 게 교육부 설명이다.
교육부가 지난 26일 공개한 킬러 문항 사례에 따르면 이번 6월 모의평가에서 국어에서는 2개 문항, 수학 3개 문항, 영어 2개 문항이 킬러 문항으로 출제됐다. 다만 최상위권을 변별해내는 킬러 문항 출제에도 만점자는 오히려 늘었다. 킬러 문항이라고 지목했던 문항들이 수험생들에게는 크게 어렵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 동점자 역시 지난해 6월 모의평가에서는 59명에 불과했지만 이번 시험에서는 1492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어렵게 출제된 수학 만점자 역시 지난해 6월 모의평가 13명에서 올해 648명으로 늘었다. 절대평가를 시행하고 있는 영어의 경우 6월 모의평가에서 원점수 90점 이상을 받은 1등급 비율은 7.62%로 나타났다. 지난해 수능(7.83%)과 비슷했고 지난해 6월 모평(5.5%)보다는 많았다. 차형석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