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일회용품 사용규제 7개월째인데 카페·시장·마트서 비닐봉투 사용 여전
상태바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일회용품 사용규제 7개월째인데 카페·시장·마트서 비닐봉투 사용 여전
  • 강민형 기자
  • 승인 2023.07.04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3일 울산 남구 신정동 한 카페에서 음료 포장을 요청하자 비닐봉투에 음료를 담아줬다.
▲ 3일 울산 남구 삼호동 한 마트에 투명 비닐봉투가 채소 칸 앞에 달려있다. 투명 비닐봉투는 흙이나 이물질이 묻은 채소만 담을 수 있도록 정해져 있다.
일회용품 사용규제 지침이 시행된 지 7개월이 지났지만 규제 자체의 강제성이 떨어지는 등으로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인 3일 남구 신정동 한 카페. 커피를 시키자 직원이 “캐리어에 담아드릴까요?”라고 물었다. 담아달라는 말이 떨어지기 무섭게 직원은 작은 비닐봉투에 음료를 담아 건넸다.

신정시장 등 전통시장에서는 물건을 사니 자연스럽게 비닐봉투에 담아줬다.

인근 마트에서는 채소 칸 앞에 달려있는 투명 비닐봉투를 시민들이 채소가 아닌 식품·물건을 담는데 사용했다. 또다른 마트에서는 아이스크림 냉장고 앞에 아이스크림을 담아갈 수 있게 투명 비닐봉투를 비치해 뒀다.

한 가게 주인 A씨는 “손님들이 찾으면 장사하는 입장에서는 제공할 수밖에 없다”며 “유상 비닐봉투에 대해 안내했다가 ‘다시 못오겠다’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고 토로했다.

일회용 비닐봉투뿐만 아니라 일회용품 사용도 여전하다. 프랜차이즈 카페를 중심으로 카페 내 플라스틱 빨대는 줄어든 모양새지만 포장 음료에는 여전히 제공되는 곳도 많았다.

앞선 2일 울산문수야구장에서는 일회용품에 담긴 음식을 일회용 비닐봉투에 담은 입장객들이 줄지어 자리에 착석했다. 경기 중 맥주를 시키며 일회용기도 함께 달라고 주문하는 모습도 곳곳에서 목격됐다. SNS에서도 일회용기에 맥주를 담아마시는 모습을 인증한 사진도 즐비하다.

지난 4월 환경부와 한국야구위원회 등이 ‘일회용품없는 야구장 조성 위한 자발적 협약’을 맺었다. 이후 2달여가 지났지만 현장에는 별도 계도·지도 인원이 없어 유명무실한 상황이다.

지난해 11월24일 시행된 일회용품 사용규제는 오는 11월23일 계도기간이 완료되더라도 현장 단속 등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게 일선 지자체의 설명이다.

이에 환경부는 “수많은 매장에 일괄적으로 단속·계도 나서기 어렵고 인력이 부족한 점이 한계로 작용하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면서 “각 지자체별로 매달 진행상황 보고를 받으며 제도 정착에 노력중이다”고 밝혔다.

강민형기자 min007@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