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 전기차 울산공장이 첨단투자지구로 지정됐다.
울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현대자동차 전기차 울산공장을 비롯해 전국 9곳을 첨단투자지구로 최초 지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첨단투자지구 지정을 위해 2차례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 총 11곳이 신청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청 대상지에 대해 △첨단투자 실행 가능성 △지역간 균형발전 △국토의 효율적 이용 △고용증대 및 지역개발효과 등을 심의해 최종 9곳을 첨단투자지구로 지정했다.
첨단투자지구로 선정된 현대자동차 전기차 울산공장은 북구 명촌동 94 일원에 면적 68만5800㎡ 규모로 조성된다.
오는 2025년까지 2조2879억원을 투입해 연간 20만대의 생산 능력을 갖추며 2000여 명의 고용 창출이 예상된다.
특히 첨단투자지구 선정에 따라 필요로 하는 부담금 감면, 임대료 감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 비율 가산 등 각종 특전이 주어진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시의 주력 첨단산업을 상징하는 현대자동차 전기차 울산공장이 첨단투자지구로 지정돼 관련 분야 산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전기차 생산공장 구축에 필요한 행정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첨단투자지구는 ‘산업직접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부가 첨단투자 촉진을 위해 기업이 투자를 희망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한다. 국내·외 기업의 첨단투자(첨단기술·제품, 신성장동력기술)를 신속히 수용해 맞춤형 특전과 규제 특례를 제공하는 것으로, 지난해 법제화가 완료됐다.
이번에 최종 지정된 첨단투자지구는 울산과 부산을 비롯해 경기, 충남(3곳), 전북(3곳) 등 총 9곳이다. 면적상으론, 현대차 울산 전기차공장 첨단투자지구가 가장 크다.
첨단투자지구의 지정 형태는 단지형과 개별형으로 분류된다. 단지형은 산업단지나 경제자유구역, 자유무역지역, 자율주행차 시범 운행지구 등 일부 지역에 지정하며, 개별형은 첨단 투자 기업이 투자를 희망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형태다. 아산 탕정 첨단투자지구를 제외한 8곳은 모두 개별형이다.
울산시는 이번 공모에선 개별형으로 신청했고, 이후 현대차가 전기차 공장을 확장할 경우 지정 형태를 변경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시는 당초 지난해 1차 공고에 도전할 계획이었지만 산업부의 첨단 기술 인증 절차가 지연되면서 신청하지 못했다. 지난해 12월 첨단 기술 인증 절차를 통해 전기차가 첨단 기술을 수반하는 사업으로 분류되면서 이번 공고에 도전했고, 최종 지정됐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