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울산 북구 효문교 아래. 해당 부지는 시유지로 주민들이 임시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생활용 쓰레기 및 건설 자재 등이 가득 쌓여있었다. 폐 가전제품, 플라스틱 등이 무덤처럼 쌓여있고 2m 높이의 목재들이 놓여있기도 했다.
인근 주민들에 따르면 쓰레기 수거업자가 부지 일부를 사용하더니 점점 쓰레기가 대량으로 쌓이고 있으며, 일부 건설업체들도 부지에 자재들을 쌓아두고 사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중구 반구교 하부도 마찬가지. 주민들에 따르면 빈 부지에 수시로 쓰레기가 쌓이거나 자전거 등 불법 적치가 장기화돼 지역 주민들 사이 우범지대로 꼽히고 있다.
학성교 하부 교량 다리에는 종이로 ‘테니스장’이라고 써서 붙여져있다. 곳곳에 의자와 테니스 네트가 놓여져 있고 이날 오전에도 시민들이 테니스를 즐기고 있었다. 그러나 해당 시설은 구에서 관리하는 공공체육시설이 아닌 임의로 조성된 불법 시설물이다.
중구 관계자는 “최근 학성교 하부 테니스장에 인조잔디 포장 등을 진행해달라는 민원이 접수돼 현장 확인에 나섰으나, 하천점용허가를 받지 않은 불법 시설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최근 이같이 울산 교량 하부에 폐기물 불법적치나 불법시설물 조성이 만연화되며 도심 미관 저해는 물론 주민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조명 등 편의시설도 설치되지 않아 우범지역으로 변할 수 있다는 우려도 높다.
이에 울산 각 교량 하부 유휴부지에 운동시설이나 정비를 통해 생활편의시설 조성해달라는 민원도 해마다 접수되고 있으나, 조성 허가가 쉽지 않아 지자체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교량 하부, 특히 강변과 인접한 지역은 주요 침수 구역이다. 이에 태풍 등이 발생할 시 유수 흐름에 지장을 줄 수 있어 시설물 설치 내지 초목 식재 자체가 불가하다. 이에 나대지로 방치할 수밖에 없는데, 이같은 불법행위가 되풀이되면서 해마다 관할 지자체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자체 관계자는 “매일 교량 하부에 불법적치 관련 신고가 수차례 접수되고 있다”며 “대부분 교량 하부는 국·시유지인데 관리는 지역 구청으로 위임돼, 지자체 인력은 한정되는데 관리해야 할 부지가 많아 업무과중에 공백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장 확인 후 적치물 소유자를 찾아 원상복구 명령을 내리고, 소유자를 못 찾거나 원상복구 미실시땐 행정대집행 및 변상금을 부과하겠다”고 말했다. 정혜윤기자 hy040430@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