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국토교통부 자동차 등록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에 등록된 자동차 수는 총 2580만7871대이며, 이 중 전기차는 1.9%(48만8216대)를 차지했다. 하지만 울산은 전기차 비중이 1.1%(59만6763대 중 6960대)에 그쳐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전기차 등록 비중이 가장 낮았다. 제주가 5.3%로 가장 높았고, 광주·경기(1.5%)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이처럼 타 시도에 비해 전기차 등록 비중이 낮은 이유는 보조금 예산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 탓이 크다.
올해 울산시 전기자동차 지원 규모는 2030대(254억원)에 그쳤다. 작년(1995대)보다 소폭 늘었지만, 서울(1만4650대), 부산(7729대), 대구(7877대), 대전(7706대) 등 타 광역시와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인다.
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도 천차만별이다. 울산에서는 전기 승용차에 대당 34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반면, 세종 400만원, 광주 390만원, 대구·대전 350만원을 지원한다. 국가보조금 680만원을 더하면 울산은 최대 1020만원을 보조 받게 되지만, 세종은 1080만원까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셈이다. 경북 울릉군에서 받을 수 있는 전기차 보조금은 1780만원에 달했다.
낮은 보조금에도 울산지역 보조금 예산이 한정적인 만큼 전기차 보조금 쟁탈전은 하반기에도 지속되고 있다.
실제로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따르면 하반기 울산시가 보조금 모집 신청을 공고한 승용전기차 수는 총 1077대였다. 이 중 981대가 출고됐고, 잔여대수는 96대로 소진율이 91.0%에 육박했다. 공고 낸지 불과 두 달 만이다.
반면 전국적으로 총 15만9271대의 보조금 모집 신청을 공고했고, 현재까지 소진율은 37.2%에 그쳤다. 특히 대전의 소진율이 20.0%로 가장 낮았다. 서울도 36.5%만 보조금을 받았다. 인천, 대구 등도 40% 미만이다.
이에 시 관계자 “전기차 보조금 수요가 많은 만큼 내년도 예산은 올해보다 더 증액해서 요구해 놓았다. 국·시비가 계획대로 확보된다면 내년도 보조금 지원액은 올해보다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