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는 23일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현대건설과 태양광 재생에너지 PPA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PPA는 전기 사용자가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로부터 재생에너지를 사는 제도로, RE100 이행 수단 중 가장 널리 통용된다. 재생 에너지를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조달 받을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현대차는 이번 협약을 통해라 2025년까지 울산공장에 태양광 재생에너지 64㎿(메가와트)를 조달할 계획이다. 이는 국내 기업이 체결한 PPA 중 최대 규모로, 이를 통해 연간 3만9000t의 탄소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고 회사는 전했다. 연간 1만5000㎞를 주행한 준중형 세단 2만3000대가 1년간 배출하는 탄소를 흡수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다.
이번 협약은 현대차가 선포한 ‘2045년 RE100 달성’ 방안의 하나로 체결됐다. RE100은 글로벌 비영리단체인 더 클라이밋 그룹과 글로벌 환경경영 인증기관 CDP 등을 중심으로 2050년까지 기업 사용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자고 촉구하는 캠페인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4월 기아와 현대모비스, 현대위아와 함께 RE100 이니셔티브 가입을 승인받았다. 또 글로벌 RE100 권고 목표인 2050년보다 5년 빠른 2045년까지 재생에너지 100% 사용이라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현대차는 PPA 외에도 2025년까지 국내 사업장 부지 내 태양광 자가발전 인프라 구축에 2000억원 이상을 투자한다. 이를 바탕으로 오는 2030년까지 국내외 전체 사업장 전력의 6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할 방침이다.
국내 사업장의 경우 2025년 재생에너지 10%, 2030년 재생에너지 30% 사용 달성을 위해 유휴 부지와 건물 지붕에 태양광 자가발전 설비를 구축한다.
현대차는 이러한 시설 투자를 기반으로 2030년까지 태양광 자가발전은 150㎿ 이상, PPA는 300㎿ 이상을 확보할 방침이다.
해외 사업장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추진한다. 자가발전과 PPA, 재생에너지 인증서(REC) 구매 등이 목표 달성 방안으로 활용된다.
실제로 현대차 체코와 인도네시아 공장은 각각 지난해와 올해 REC 구매를 통해 재생에너지 100% 사용 달성을 완료했다. 신형욱기자 shi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