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부안 내소사 동종’ 국보로 승격
상태바
문화재청 ‘부안 내소사 동종’ 국보로 승격
  • 전상헌 기자
  • 승인 2023.12.27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 부안 내소사 동종
▲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고려 후기 동종을 대표하는 ‘부안 내소사 동종’이 국보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통일신라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고려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부안 내소사 동종’을 국보로 지정했다고 26일 밝혔다. 내소사 동종은 지난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후 약 60년 만의 국보 승격이다.

내소사 동종은 고려 후기 동종 가운데 가장 크다. 종을 만든 내력이 적힌 주종기(鑄鍾記)를 통해 도인 허백(虛白)과 종익(宗益)의 주관 아래 장인 한중서가 700근의 무게로 1222년 제작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동종을 제작한 한중서는 13세기 전반부터 중엽까지 활동한 장인이다. 민간 기술자인 사장(私匠)에서 시작해 관청 소속의 관장(官匠)이 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고령사 청동북(1213년), 복천사 청동북(1238년), 신룡사명 소종(1238년), 옥천사 청동북(1252년) 등 여러 작품을 남긴 것으로 확인된다.

내소사 동종은 뛰어난 기술력과 예술성이 높은 고려 후기 동종의 본보기가 되는 유산이다. 공중을 비행하는 듯 연출된 역동적인 용뉴(용 모양의 걸이), 종의 어깨 부분을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올림 연꽃, 양련) 문양으로 입체적으로 장식하고 몸체에 천인상 대신 삼존상을 부조로 배치한 점이 눈길을 끈다.

문화재청은 “내소사 동종은 양식, 의장, 주조 등에서 한국범종사와 제작 기술과 기법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일 뿐 아니라 주종기와 이안기 등을 통해 봉안처, 발원자, 제작 장인 등 모든 내력을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문화재청은 이날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와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청자 음각앵무문 정병’ ‘복재선생집’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등 총 5건을 보물로 지정했다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일제 강점기인 1924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신라시대 고분인 금령총을 발굴했을 때 출토된 것이공. 장식 크기가 작은 점을 고려하면 무덤 주인을 미성년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신라 무덤인 서봉총에서 나온 금 허리띠는 화려한 장식이 돋보이는 유물이다. 출토된 장소가 명확하고 신라의 금 허리띠 제작 기술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보로 지정되는 ‘부안 내소사 동종’과 보물로 지정되는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등 6건을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조해 체계적으로 보존·활용할 예정이다.

글=전상헌기자·사진=문화재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