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감대 형성 돌파구 모색해야
현재 울산지역 과밀학급 편성학교는 초등학교 121교 중 4교, 중학교 64교 중 29교, 고등학교 57교 중 15교다.
특히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A 고등학교와 B 고등학교는 울산의 대표적인 과밀 학급으로 꼽힌다.
A 고등학교의 경우 지난해 4월1일 기준 1학년 학급당 학생 수는 35.6명, 전체 학급당 학생 수는 33.1명이었다.
이는 지역 전체 평균보다 각각 8.7명, 7.8명이나 많다. B 고등학교 또한 마찬가지다. 과밀 발생 이유로 이들 학교가 농어촌 특별전형이 가능하고, 내신 등급에 유리하다는 이유 등으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대학 입시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열악한 교육 환경도 참아내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지는 것이다.
이에 지난해 시교육청이 과밀을 해소하기 위해 두 학교에 각각 모듈러교실 6학급 이상 설치를 검토했다.
추경을 통해 모듈러교실 설치 예산 56억원을 반영하는 등 예산도 확보했다.
하지만 교육현장 접목은 무산됐다. 학교 구성원들의 의견 수렴 결과 반대가 많았기 때문이다.
운동장 축소로 인한 체육 수업의 어려움, 학생들의 이동 동선 멀어짐에 따른 돌봄의 애로 사항 등이 주된 이유였다.
학교 구성원들의 의견 수렴 절차는 중요한 행정 절차 중 하나기 때문에 시교육청이 무리하게 추진할 수 없다.
이에 시교육청은 해당 학교들에 대해 모듈러 교실 설치를 포기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지역 교육계의 한 인사는 “학교 구성원들과의 대화도 중요한 행정 절차 중 하나기 때문에 결코 무시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시교육청이 애를 먹기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당국 적극적 개선책 절실
문제는 오는 2025년에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 공간의 필요성은 더욱 커진다는 점이다. 신입생 정원 조정과 분산 배치 등 교육당국이 과밀을 막을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실제로 울산 남구 옥동이나 무거권역의 사립고 등은 학생 수 감소에 따른 해결책을 마련해 줄 것을 시교육청에 제안한 바 있다. 학교의 이전 배치안이 논의되기도 했다.
하지만 설립 목적에 맞는 학교 발전 방안 수립과 운영이 우선되어야 해 이 역시 학교 구성원 및 관계자의 공감 없이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몇년만 버티면 학생 수가 자연스럽게 감소해 해결될 문제이기 때문에 교육당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출생아 수가 많은 해에 태어난 학생들은 졸업할 때까지 다른 학년보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학업에 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점차 단계적으로 학급 증설, 분산 배치, 학교 신설 등을 통해 과밀학급을 해소할 예정”이라며 “이와 함께 다운2지구 등 향후 지역 내 개발사업에 따른 학교 신·이설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