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울산시와 울주군에 따르면, 부산의 모 업체가 폐업한 광산업체를 인수해 지난해부터 웅촌면 대복리 산 184 일대 야산에 약 20만㎡ 규모의 채석장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업체 측은 앞서 작년에 지질 조사와 시추 작업 등 경제성 평가를 진행했고, 올 들어서는 사전협의 단계로 환경영향평가를 받기 위한 사전 행정 절차를 밟고 있다. 환경영향평가를 받아야 관할 행정기관에 토석 채취 허가를 신청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난해부터 채석장 조성 부지 인근 A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고, 700여명의 서명을 받은 탄원서를 울산시 시민고충처리위원회 등에 접수했다. 또 올 들어서도 이달 5일에 주민 864명의 반대 서명을 받은 진정서를 시 담당부서에 제출했다.
실제 이날 찾은 대복리 마을은 마을 입구에서부터 A아파트단지 앞까지 “채석장 허가 결사반대” 등의 구호가 적힌 플래카드가 곳곳에 내걸려 있었다.
반대하는 주민들은 “채석장 부지 반경 1.5㎞ 이내에 초·중·고교 4곳이 있고, 가장 가까운 마을과는 직선거리로 900m에 불과하다”면서 “채석장이 들어서게 되면 소음과 비산먼지, 교통체증 등이 우려되고, 주민들의 재산상에도 손해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마을주민들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마을의 각종 단체 대표 등으로 구성된 대책위원회를 꾸려 반대 목소리를 내왔다.
하지만 마을이장을 비롯해 대책위 집행부 22명 중 상당수가 찬성 입장으로 돌아서며 주민들간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대책위 집행부는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동의서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찬성하는 주민들은 발전기금 조성 등을 통해 장기적으로 마을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찬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같은 집행부의 결정에 A아파트 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반대 주민들은 반발, 비대위를 구성해 독자적 행보를 이어가며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아직 시에는 관련 인허가 신청이 접수된 것은 없다”면서 “환경영향평가협의회 구성 등 절차가 많아 환경영향평가를 받는데만 2년 가량 걸릴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