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심재영·주경돈·한승렬·김지수 교수팀, 세계 권위 인공지능학회 AAAI에 논문 4건 채택
상태바
UNIST 심재영·주경돈·한승렬·김지수 교수팀, 세계 권위 인공지능학회 AAAI에 논문 4건 채택
  • 박재권 기자
  • 승인 2024.02.20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교내 연구진의 연구 성과 4건이 인공지능 분야 글로벌 권위 학회인 AAAI(Association for Advancement of AI)에 채택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들 성과는 20일부터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리는 38회 연례 정기학회에서 공개된다. 이번 정기학회에서는 사상 최대 규모인 1만2000편 이상의 논문이 전 세계에서 제출됐다. 이 중 약 23%인 2342편이 채택됐다. UNIST의 성과는 각각 심재영·주경돈·한승렬·김지수 교수팀에서 나왔다.

심 교수팀은 가상 데이터를 인공지능(AI) 학습에 활용하는 컴퓨터 비전 기술을 개발했다. 인공지능이 폐쇄회로(CC)TV 등 영상을 분석해 범죄자, 실종자 등 특정 인물을 자동으로 찾아내기 위해서는 방대한 영상 데이터 학습이 필요한데 가상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라벨링 비용과 초상권 침해 문제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가상현실, 게임 등을 더 생생하게 즐길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도 채택됐다. 주 교수팀은 가상현실에서 사람 간의 3차원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만드는 인공지능 기술을 소개한다. 포옹, 악수 등의 상황에서 상대방의 동작에 알맞게 가상 인간을 저절로 생성해 가상 인간 간의 상호작용을 입체 화면에 자연스럽게 구성해낼 수 있다.

한 교수팀은 다중 에이전트 강화학습 기술을 선보인다. 게임 뿐만 아니라 기계들의 협업이 필요한 자율주행, 로봇 군집 작동 등에서 필수적인 AI 원천 기술이다. 한 교수팀은 기존 다중 에이전트 강화학습에서 탐색해야만 하는 경우의 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고효율 알고리즘을 제안해 채택됐다.

김 교수팀은 온라인 추천을 위한 ‘밴딧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뉴스나 영상시청, 쇼핑 등에서 사용자의 기호를 고려해 유사한 아이템을 추천해 주는 알고리즘이다. 사용자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호를 파악해 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