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집단사직 대응 ‘진료유지명령’ 발령
상태바
전공의 집단사직 대응 ‘진료유지명령’ 발령
  • 전상헌 기자
  • 승인 2024.02.20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전공의 집단사직에 대응해 ‘진료유지명령’을 발령하고 현장점검에 나선다. 집단행동에는 단호하게 대응하면서도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군병원 응급실을 개방하는 등 비상대응체계도 추진해 나간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19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전국 221개 전체 수련병원 전공의를 대상으로 진료유지명령을 발령과 함께 현장점검 실시 후 결과를 신속히 공개키로 했다.

의료공백을 방지하기 위한 ‘집단행동 대비 비상진료대책’으로 우선 중증응급환자를 중심으로 대형병원 응급실을 이용하도록 이송지침을 적용하고 응급환자의 신속하고 정확한 전원을 위해 광역응급상황실(서울·대전·대구·광주) 4곳을 3월부터 조기 가동키로 했다.

또 지방의료원 등 공공병원의 평일 진료 시간을 확대하고 주말과 공휴일 진료도 실시한다. 12개 국군병원 응급실도 일반인에게 개방한다. 정부는 필요시 보건소 연장 진료와 무제한 비대면진료 등도 실시할 계획이다.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를 대비해 공중보건의와 군의관 인력을 주요 의료기관에 지원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하고 의료기관에 적용 중인 인력 운영 기준을 한시적으로 완화해 비상진료 기간 중 유연한 인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비상진료에 참여한 의료기관이 각종 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조치할 방침이다.

아울러 이 같은 비상진료대책을 차질 없이 수행하기 위해 중수본 중앙비상진료대책실을 20일부터 확대 운영해 전국 응급의료기관과 공공병원 등 비상진료 현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한다.

또 19일부터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중증·응급치료가 거부되는 등 피해를 입은 경우 국번없이 129로 전화하면 피해 상담과 소송 지원을 한다.

한편, 이날 울산대학교병원에서 전공의 35명이 사직서를 제출한 것을 비롯해 일명 ‘빅5’ 병원(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에서는 전공의 전원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20일부터 근무를 중단할 예정이다.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