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공의 면허정지 절차 개시가 임박한 가운데 울산대학교병원 소속 일부 전공의들이 복귀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별개로 서울에서 열린 의사 총궐기 대회에는 울산 의사 70여명이 참석하는 등 정부와 의사 간의 강대강 대치가 지속되고 있다.
3일 의료계에 따르면, 울산대병원 소속 전공의 32명이 현장을 떠난 가운데, 지난달 29일 일부 전공의가 병원에 복귀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병원측은 정부 지침에 따라 정확한 복귀 인원과 복귀 일자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주부터 근무를 시작하는 울산대병원 신규 전임의와 인턴은 집단 행동에 동참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대병원 관계자는 “복귀 인원은 변동성이 큰 만큼 공개시 혼선이 생길 수 있다”며 “전임의나 인턴은 정상 출근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답했다.
정부는 4일부터 경찰과 합동으로 울산대병원 현장 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병원 출결 전산 시스템을 통해 미복귀 전공의를 파악한 뒤 강경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울산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성명서를 내고 정부의 사법 처리 현실화 시 집단 행동 동참을 예고했다.
대책위는 “전공의들의 복귀가 요원한 현재 서울아산병원, 울산대학교병원, 강릉아산병원의 교수들은 한계에 직면하여 곧 닥칠 파국을 심각히 우려하고 있다”며 “정부가 현재의 파국을 막고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지키려면 협상의 자리로 나와 우리의 호소에 귀 기울여달라”고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대한의사협회는 이날 정부의 압박을 규탄하며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의협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대로에서 2만여명(의협 추산)의 의사와 전공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국 의사 총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울산의협에서도 버스 2대를 빌려 약 70명의 의사들이 상경했다. 개별 이동을 포함하면 참석자는 더 늘어난다.
한편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오늘까지 복귀하는 전공의들에 대해 정부에서는 최대한 선처할 예정이다. 오늘까지 돌아오지 않는다면 법과 원칙에 따라서 엄중하게 나갈 수밖에 없다”고 못 박았다.
이 장관은 “법과 원칙에 따라서 각종 행정처분, 그 다음에 필요하다면 사법적 처벌까지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두수·오상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