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주총 현안·애로’ 조사
감염 우려로 예방책 마련에
사외이사 연임제한 등 규제
관계부처 협의·지원책 찾아
감염 우려로 예방책 마련에
사외이사 연임제한 등 규제
관계부처 협의·지원책 찾아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302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2020년 주주총회 주요 현안과 기업애로’를 조사한 결과, 신종코로나로 인해 정족수 부족(35%)이 우려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감염 우려와 예방책 고심(24%), 감사보고서 지연 등(13%)의 우려를 나타냈다. 현재 상법상 주총에서 안건을 결의하려면 출석 주주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 1 이상 찬성이 필요한데 이 같은 의결정족수 부족 문제 해결방안으로는 섀도보팅 부활(53%), 의결요건 완화(30%), 전자투표제 도입·활용 확대(13%) 등이 제시됐다. 섀도보팅은 주주총회에 불참한 주주의 의결권을 한국예탁결제원이 대신 행사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2017년 말 폐지됐다.
이밖에도 기업들은 지정감사인 제도 도입으로 새로운 감사인의 회사 파악 미흡과 이전엔 없었던 엄격한 심사 등 ‘애로를 경험했다’(26%)고 답했다. 외부감사 비용도 전년보다 증가했다는 응답이 66%였다. 또한 사외이사 연임제한 제도 도입에 따라 사외이사를 교체한 기업의 24%는 제한된 인력풀과 시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혔다. 최근 강화되고 있는 기관투자자의 스튜어드십코드(수탁자 책임원칙) 활동에 대해서는 기업의 34%가 ‘무리한 경영개입이 우려된다’고 답했다.
올해 정기주총의 최대 쟁점 사항으로는 ‘이사·감사 등 임원 선임’(63%)이 꼽혔고, 기업들은 이사회 독립성 강화를 위해 사외이사로 구성된 감사위원회를 ‘운영하고 있거나 도입을 검토 중’(34%)이라고 밝혔다.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분리(16%), 사외이사로 구성된 이사추천위원회(15%), 이사회 의장으로 사외이사 선임(11%), 사외이사 확대(8%) 등 방안도 도입했거나 검토 중인 기업이 있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기업정책팀장은 “현재 정기주총을 준비하는 기업들은 신종코로나 방역대책과 차질없는 주총 개최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하는 상황”이라며 “주총 준비과정에서의 기업애로를 관계부처에 전달하고, 지원방안을 전국의 회원기업에게 알리는 등 안전하고 원활한 주총 개최를 위해 상의도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