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정부와 산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고용노동부가 원·하청업체 간 복지 격차를 줄이기 위해 새롭게 마련한 ‘상생연대 형성지원 사업’이 SK이노베이션 노사가 시행 중인 모델에서 착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생연대 지원사업은 원청인 대기업 노사가 협력사의 근로복지 재원을 마련하면 정부가 사업주 출연분의 최대 100%, 근로자 출연분의 최대 200%를 매칭 지원한다. 대기업보다 복지 수준 등이 낮아 구인난을 겪는 소규모 기업을 지원해 원하청 격차를 줄이고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하자는 취지다.
이는 지난 2017년부터 SK이노베이션이 이어오고 있는 ‘1% 행복나눔기금’과 성격과 방식이 유사하다. 행복나눔기금은 SK이노베이션 노조가 먼저 아이디어를 내고 사측이 적극 수용해 도입됐는데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기본급의 1%를 적립하고, 회사가 같은 금액을 더해 기금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대기업 노사가 양극화 해소, 일자리 창출 등에 함께 기여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자는 취지에서 지속해 이어져 오고 있다.
SK이노베이션 노사는 조성된 기금 절반을 협력업체 구성원에게 상생기금으로 직접 전달하거나 단체상해보험 등 복지 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2020년부터는 정부와 협력사도 기부금 조성에 참여해 올해까지 220억원을 모아 협력사 구성원 4만1000명을 지원했다.
이에 정부는 SK이노베이션의 행복나눔기금이 협력사 구성원 복지 개선과 대기업·협력업체 간 상생 문화 형성에 실질적 효과를 낸다고 보고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에 기여할 모범 사례로 평가했다. 또 앞선 사례에 착안해 대기업 노사가 협력사 근로복지 재원을 마련하면 정부가 매칭으로 지원하는 상생연대 형성지원 사업을 도입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업종에서도 협력사와 상생 방안을 마련해 시행하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자동차업계에서는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최근 협력사 노동환경 개선에 12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조선·석유화학·식품제조·항공우주 등에서도 원청과 협력사 간 격차를 줄이는 상생협력에 동참하고 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