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울주군청사 부지가 언제 제 역할을 찾을지 하세월이다. 울산 최고의 금싸라기 땅으로 알려져 있는 이 곳은 울주군이 지난 2017년 청량읍 신청사로 옮겨가면서 지금까지 이렇다 할 용도를 찾지 못하고 있으며, 오는 7월부터 최소 5년 동안은 공용주차장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과거의 시간까지 합하면 울주군청사 이전 부지는 최소 12년 동안 제 목적에 맞는 역할을 못하게 되는 것이다.
금싸라기 땅을 1~2년도 아닌 12년 동안 놀린다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의 관점에서 본다면 도저히 납득이 안가는 일이다. 시민들의 혈세를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물론 울산시도 이번에 청사 이전부지를 주차장으로 활용하는 등 나름 최선을 다했겠지만 사전에 예산낭비를 막지 못한 것은 아쉬운 부분이 아닐 수 없다.
울주군청사 이전부지의 좌충우돌 개발은 지난 2019년 4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공모사업에 옛 울주군청사가 선정되면서 시작됐다. 민선7기 울산시는 이듬해 사업계획을 수립, 옛 울주군청사 1만754㎡ 부지에 ‘청년과 신혼부부 등을 위한 행복주택’ 160가구를 비롯해 공영주차장과 도서관 등 공공시설, 상가를 포함한 근린생활시설 등이 들어서는 복합건물을 조성키로 했다. 건물은 지하 3층~지상 21층, 전체 면적 4만5280㎡, 총사업비는 1096억원으로 추산됐다.
그러나 건설 불경기와 자잿값 급등, 금리 인상 등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면서 애초 2022년 하반기로 예정됐던 착공은 기약 없이 연기됐다. 민선8기 김두겸 시장은 ‘막대한 손해를 감수하고 사업을 강행하기보다는, 이왕 공사가 시작되기 전이라면 아예 새 활용 방안을 찾자’고 결단했다. 당시 예측된 임대 수입은 186억원 규모였으나, 일대 상가 임대 시세와 공실률 등을 고려하면 수익은 20억원 수준에 그칠 것으로 조사됐다.
사실 민선7기 행복주택 사업은, 자잿값 인상 등 여러가지 경제적 이유를 떠나 이전부터 반대가 많은 사업이었다. 당시 시의회에서는 “금싸라기 땅에 행복주택을 짓는 것은 사업성이 부족하다”며 제동을 걸기도 했으나 이미 국비를 받은 사업이라 되돌릴 수가 없었다. 100억원도 채 안되는 국비가 탐나 사업을 졸속으로 진행한 측면이 없지 않았던 것이다.
옥동 일대는 학원가·법조타운으로 인해 인구밀도가 울산에서 가장 높은 지역이다. 앞으로 5년은 이 부지를 임시 공영주차장으로 이용한다 치더라도 그 이전에는 반드시 부지 활용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