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단 폭발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사고 빈도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량적 위험성 평가와 위험 허용범위 규정 법제화가 절실합니다.”
한국방폭협회는 24일 울산대 산학협동관 국제회의실에서 창립 1주년 기념식과 ‘중대재해 예방 극대화 방안’ 주제 제40회 화학네트워크포럼을 열었다.
행사에는 박종훈 한국방폭협회 공동회장과 이채익 전 국회의원, 박순철 울산시 시민안전실장, 오부명 울산경찰청장, 이재순 울산소방본부장, 김재훈 고용노동부 울산지청장, 이재신 울산대 산학부총장,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RUPI사업단장, 김보찬 울산광역공장장협의회 회장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제40회 화학네트워크포럼에서는 ‘중대재해 예방 극대화 방안’에 대해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김재훈 고용노동부 울산지청장이 ‘2024년 산업안전 정책 방향’에 대해 발표했고, 문석주 울산시의회 산업건설위원장이 전국 최초로 제정된 ‘울산시 방폭 안전관리 지원 조례’ 취지와 의미에 대해 직접 설명했다. 이어 김미현 리스크엔지니어링서비스 대표가 ‘정량적 위험성평가의 중요성’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대표는 “대부분의 OECD 국가와 기업이 위험성평가 기반의 위험관리를 법제화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고위험군에 대한 정량적 위험성평가를 하고, 사고 발생 빈도와 피해 최소화 대책을 포함한 허용 위험 기준을 확립해 위험관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울산지청장이 대독한 축사를 통해 “중대재해 감축을 위해서는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등 법정의무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위험성평가 중심의 자기규율 예방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기본”이라면서 “특히, 전국 최초로 ‘울산광역시 방폭안전관리 지원 조례안’이 울산에서 제정된 것은 ‘산업수도 울산’의 안전문화의 높은 수준을 보여준 것이며, 앞으로도 한국방폭협회가 한발 앞서 주도적으로 이끌어 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한국방폭협회 창립1주년 기념행사에서는 이채익 전 의원에게 울산 주력산업 고도화와 한국방폭협회의 창립·사단법인 인가 기여 공로로 공로패가 전달됐다.
박종훈 한국방폭협회 공동회장은 “안전한 울산, 나아가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서는 산학연관정언이 함께 나아가야 하며 한국방폭협회가 중심이 돼 앞장서겠다”며 “안전에는 지름길이 없으며 기본과 원칙만이 토대가 돼야 한다. 안전보건은 바로 나의 일이며, 우리 국민 모두의 일이라는 인식을 확산해 모두가 ‘안전 파수꾼’이라는 각오로 나아가자”고 말했다.
한편 한국방폭협회는 방폭 기술 연구개발과 산업안전 기술 발전을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조직돼 방폭 안전 관련 사고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