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교육부는 이달 말까지 각 시도별로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 운영 계획을 제출받아 컨설팅을 거쳐 내달 중으로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는 교육발전특구 시범 지역 중 교육청을 비롯한 지자체, 지역 대학 등이 긴밀한 협력을 토대로 사교육 부담을 획기적으로 덜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지역·학교다.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의 구체적인 사교육 경감 프로그램은 지역이 결정해 교육부에 제출한다.
시교육청은 최근 각 부서별로 전략 사업과 중요 사업을 취합·정리해 교육부에 제출했다. 시교육청은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 운영을 위해 △방과 후 프로그램 확대 △교과 보충 프로그램 확대 △유아 방과 후 프로그램 다양화 등을 계획에 담았다. 또 △체육 계열의 진로·진학 거점별 학교 지원 △학부모 동아리 지원 등도 포함했다.
특히 시교육청은 울산형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를 위해 3대 과제, 7대 사업으로 방향을 설정했다.
다만 교육부의 컨설팅 및 검토를 거쳐야 하는 절차가 남아있기 때문에 내달 중하순께 구체적인 모델이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에 선정될 경우 매년 5억원 이내의 예산을 3년간 확보할 수 있을 전망이다.
울산시교육청 관계자는 “대략적인 방향만 설정했을 뿐, 변동 사항이 있을 수 있다”며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방과 후 프로그램들을 운영함으로써 사교육비 경감을 도모하는 효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월 교육부와 통계청의 ‘2023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결과 울산의 1인당 사교육비는 월평균 36만8000원으로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9년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박재권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