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잇따라 긴급 안전 점검 계획을 발표하는 타시도와 달리 울산은 아직 별다른 움직임을 밝히지 않고 있다.
25일 부산시는 화재·폭발 대비 회의를 열고 일차전지·축전지 제조 업체 37곳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설 58곳 등을 우선 점검키로 했다.
부산시는 민간 전문가와 공동 점검에서 재난 취약 시설이나 관리상 결함이 발견되면 즉시 시정조치할 방침이다.
광주시도 이번 참사와 관련해 유사 시설 28곳의 안전 관리 실태를 점검한다. 광주시는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의 안전사항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경보·소화설비 등 소방시설 관리와 초기 대응 체계, 공장 내부 비상탈출로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대피 요령과 화재 안전수칙 등도 교육한다.
경북은 도내 이차전지 관련 시설 74곳을 대상으로 이날 긴급 안전 점검에 착수했으며 오는 28일까지 점검을 이어간다. 경북에서는 포항 영일만 산업단지 등을 중심으로 이차전지 관련 업체가 증가하는 추세다. 경북은 소방본부와 화재 발생에 대비해 소방 장비를 점검·정비하고 합동 소방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다.
충북과 전북 역시 도내 이차전지 업체들을 대상으로 긴급 안전 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반면 울산은 아직까지 대책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에 리튬 전지 등을 취급하는 기업이 상당수 위치한 울산의 행보는 아쉽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울산소방본부의 경우 리튬 전지를 비롯해 각 배터리를 취급하는 기업들의 현황 파악도 어려워 하는 눈치다.
이번 화재와 관련 전국적으로 안전 점검 계획을 들여다보고 있는 가운데 울산도 서둘러 전수조사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편 이날 소방청은 이번 화재와 관련해 내달 9일까지 2주간 전국 전지 관련 213개 시설을 대상으로 긴급 화재 안전조사를 벌인다고 밝혔다. 소방청은 화재 위험 요인을 사전에 제거해 유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전지 제품 다량 적재 작업장 등 213곳의 안전 관리 실태를 확인하고, 소방시설 및 피난·방화시설 유지·관리를 할 예정이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