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울산시립무용단 컨템포러리 프로젝트 ‘놀음-Hang Out’ ‘돌’
상태바
[리뷰]울산시립무용단 컨템포러리 프로젝트 ‘놀음-Hang Out’ ‘돌’
  • 권지혜 기자
  • 승인 2024.09.19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울산시립무용단의 올해 3번째 기획공연인 컨템포러리 프로젝트 ‘놀음-Hang Out’ ‘돌’이 지난 12~13일 이틀간 울산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열렸다. 사진은 ‘놀음-Hang Out’ ‘돌’의 한 장면. 울산시 제공
울산시립무용단의 올해 3번째 기획공연인 컨템포러리 프로젝트 ‘놀음-Hang Out’ ‘돌’이 지난 12~13일 이틀간 울산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열렸다. 전통춤과 전통적 주제를 서로 다른 현대의 색깔로 표현한 두개의 공연을 동시에 볼 수 있어 인상적이었다.

첫 번째 공연인 ‘놀음-Hang Out’은 한량들이 췄던 동래학춤과 바로크 시대 음악이 결합해 신선했다.

공연은 한복을 입고 서있는 남자 무용수 양옆으로 여자 무용수 두명이 양반다리를 하고 앉아있는 장면으로 시작했다. 이후 한복 치마가 떠오르는 복장을 입은 무용수들이 한명씩 등장해 다르지만 비슷한 동래학춤을 반복해서 선보였다.

한복을 입은 남자 무용수의 징소리에 맞춰 춤을 추거나 여자 무용수에게 갓을 씌어주고 눕는 등 평범하지 않은 동작들이 이어지며 재미를 선사했으며, 음악의 크기를 줄여 무용수들의 발소리와 동작에 더욱 집중할 수 있었다.

특히 무용수들이 가벼워진 옷차림으로 민화를 배경으로 시간 차를 두고 동래학춤을 추는 장면은 공연의 하이라이트였다. 인체의 아름다움과 무용수들의 춤선이 돋보여 숨을 죽이고 집중하게 만들었다.

밴드 공연과 함께 진행된 두 번째 공연 ‘돌’은 무용수들이 희망을 찾아간다는 메시지가 잘 전달됐다.

공연은 저승(지옥)을 떠올리게 하는 어두운 공간에서 검정색 의상을 입은 사신이 바닥에 모래를 뿌리고 뒤에서 저승사자들이 춤을 추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후 힘들고 지쳐보이는 여성 무용수들이 등장했다.

돌은 조명을 활용해 큰 그림자를 만들어내는 것과 불빛 등으로 무용수들이 희망을 찾는다는 상황을 표현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작았던 희망의 불빛이 무대 전체에 퍼지면서 여성 무용수들이 희망을 찾고 웃거나 춤추는 등 밝은 동작을 하는 것도 눈길을 사로잡았다. 밝은 배경에서 펼쳐진 ‘놀음-Hang Out’과 달리 어두운 배경에서 진행돼 불빛의 의미가 크게 와닿았다.

김혜영(30·울주군)씨는 “놀음-Hang Out은 한복 치마를 연상케하는 의상, 정적인 춤, 먹그림이 어우러져 한폭의 민화를 보는 듯 했다”며 “돌은 단원들의 강렬한 움직임이 밴드의 라이브와 어우러지면서 압도되는 느낌이었다”고 소감을 말했다.

김미자 무용가는 “창작 공연이라고 하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잘 표현한 것 같다”고 말했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