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울산울주세계산악영화제 5일간의 대장정 마무리, 가족 단위 관객 증가…5만2600명 즐겼다
상태바
제9회 울산울주세계산악영화제 5일간의 대장정 마무리, 가족 단위 관객 증가…5만2600명 즐겼다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4.10.02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제9회 울산울주세계산악영화제 폐막식이 1일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에서 열린 가운데 이사장인 이순걸 울주군수, 엄홍길 집행위원장이 수상자들에게 시상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1일 열린 제9회 울산울주세계산악영화제 폐막식에서 이사장인 이순걸 울주군수, 엄홍길 집행위원장이 폐막 선언을 하고 있다.
제9회 울산울주세계산악영화제가 1일 오후 폐막식과 폐막작 ‘스노우 레오파드’ 상영을 마지막으로 닷새간의 일정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 내 움프시네마와 울산대공원에서 동시에 개최된 제9회 울산울주세계산악영화제의 총 방문객은 5만26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열흘간의 행사와 비교했을 때 1일 평균 방문객은 17% 증가한 것으로, 기간은 짧아졌지만 더욱 더 밀도있는 행사가 이루어졌다. 울산대공원 청소년광장에 조성돼 5일간 상영과 공연을 진행했던 대공원 시네마의 방문객은 3550명으로 집계됐다.

상영관 입장객은 7280명으로 1일 평균 1456명이 관람해 예년 1일 평균 관람객인 1088명에 비해 크게 증가했으며, 좌석점유율도 작년에 비해 약 33% 증가해 영화 관람을 위해 찾은 관객이 증가했다는 평가다.

또한 15개국 25명의 해외 게스트를 비롯해 국내외 게스트 525명이 영화제를 찾아 관객과 직접 만났다.

울산울주세계산악문화상 수상자 하리시 카파디아의 강연을 비롯해 헬리아스 밀레리우, 알렉스 벨리니와 같은 해외 유명 산악인부터 ‘거대한 백경’의 마이클 딜런 감독, ‘숲속의 저녁’의 프란체스코 클레리치 감독, ‘장손’의 오정민 감독과 차미경 배우, ‘서신교환’의 김현정 감독과 같은 국내외 영화인들이 관객과 직접 만나 소통했다.

특히 올해는 가족 단위 관객들의 발길이 크게 늘어난 것이 눈에 띄었다. ‘움프 놀이터’, ‘자유낙서구역’, ‘마리오네트 체험’ 등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들이 큰 인기를 끌며 영화제를 찾은 가족 단위 관객에게 풍성한 즐길 거리를 제공했다.

한국 젊은 영화인들의 참여가 두드러지게 증가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영화제에 참가한 한 감독은 “공간 구성을 포함한 전체 프로그램이 영화제가 추구하는 핵심 주제인 산, 그리고 자연과 인간이 함께 어울려 성장한다는 느낌이 좋았다”며 “이제 영화제의 색깔과 정체성이 자리잡았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날 폐막식에는 국제경쟁, 아시아경쟁 부문에 대한 시상식도 함께 진행됐다.

올해 국제경쟁 부문의 대상은 루이 안케 감독의 ‘양치기 펠릭스’가 선정됐다. 심사위원들은 “캐릭터의 이야기에 우리를 끌어들이는 강력한 텐션을 가지고 있고, 매순간 힘든 삶이지만 그래도 담담히 살아야만하는 메세지를 잘 표현했다”고 호평했다.

국제경쟁 작품상에는 마이클 딜런 감독의 ‘거대한 백경’이, 감독상과 촬영상은 마야 칼슨 미켈슨의 ‘마지막 관찰자’가 수상하며 2관왕에 올랐다. 심사위원 특별상에는 리산드르 르드윅 보도의 ‘자크, 여기 있다’, 심사위원 특별 언급으로는 켄지 츠카모토의 ‘아시마’가 소개됐다.

아시아경쟁 넷팩상과 청소년심사위원상은 ‘눈이 녹은 후에’(감독 뤄 이산)가 2관왕을 차지했다. 산 섹션 상영작 중 관객들이 직접 뽑은 관객상은 와다 모에 감독의 ‘로프’가 선정됐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