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저연차 공무원 퇴직 방지대책 주문
상태바
울산 저연차 공무원 퇴직 방지대책 주문
  • 이형중
  • 승인 2024.11.14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기환 행자위 위원
▲ 김기환 행자위 위원

울산시의 신중한 예산편성과 저연차 공무원 퇴직 문제, 시민생활 밀착 행정서비스 지원 강화 등이 13일 울산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행정자치위원회 김기환 위원은 행정국 행감에서 “역대 정부는 인력을 늘렸으나, 현 정부는 재정 부담과 행정 비효율을 개선하고자 공무원 채용을 줄이는 추세와 함께, 젊은 세대의 공무원 퇴직이 증가하고 있다”며 “울산시도 행정서비스 유지를 위해 저연차 공무원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위원은 “범정부 차원에서 젊은 공무원의 공직 이탈을 막기 위해 처우개선 수당 신설·인상, 민원 공무원 보호 대책 강화 등이 필요하다”며 “부산의 경우 2020년 20대부터 30대 인력 94명의 공무원이 퇴사했고, 2023년에는 이들의 퇴사는 161명으로 증가하는 등 몇 년 동안 71%(67명)로 늘었고, 경남도 이러한 추세”라고 주장했다.

▲ 천미경 행자위 부위원장
▲ 천미경 행자위 부위원장

김 위원은 “울산의 경우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10년 이하의 일반직 퇴직자 38명 중 3년 이하는 21%(8명)였다”면서 저연차 공무원 퇴직 방지 대책을 주문했다.

행정자치위원회 천미경 부위원장 은 울산시의 부진한 예산집행 상황 개선을 주문하면서 시 청사 리모델링 사업 예산 집행의 처리 기한 준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천 부위원장은 시청 본관 1층 로비환경 개선, 4층 옥외공간 사무실 증축, 생활정원 조성 정비 등 3건의 사업비 38억5000만원이 올해 집행되지 못한 이유를 묻고, 부족한 사무공간 확충과 시민과 소통할 수 있는 문화·휴식공간 조성을 위해 확보한 사업비를 제때 집행하지 못한 재정운영의 방만함을 지적했다. 또 효율적인 세금 운용과 예산 편성·집행에 더 신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이영해 문복환위 위원
▲ 이영해 문복환위 위원

천 부위원장은 이어, 울산시의 마을공동체만들기 사업에 대해 “마을의 문제를 주민 스스로 풀어간다는 사업목적에 따라 사업 성과를 당해 연도에 증명해야 하는 탓에 실천이 쉬운 사업이 채택되는 경우가 많아, 정작 마을이 실제로 필요한 장기 과제는 추진할 엄두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회계 실무역량을 갖춘 단체가 아니라도 주민이 참여해 직접 정산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을 도입해 달라”고 제안했다.

문화복지환경위원회 이영해 위원은 녹지정원국에 대한 감사에서 2028년 울산국제정원박람회 개최 장소인 삼산여천매립장 완충녹지지구에 포함된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소유 부지 확보 방안 수립을 주문했다.

아울러 이 위원은 울산국제정원박람회 전담조직 구성 계획, 행사 이후 활용방안 마련, 상징적인 경관 조형물 설치, 만성적 주차난 해소를 위한 주차장 조성 계획 등을 질의했다. 특히, 이 위원은 “태화강국가정원을 알리는 입간판에서 특별함을 찾아볼 수 없다”며 “경관조형물은 도시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상징적인 입간판, 조형물 제작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이 위원은 “현재 추진 중인 중구 십리대밭 대체축구장 조성이 완료되면 십리대밭 축구장을 주차장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태화강국가정원 공영주차장은 14곳 2281면으로 순천만국가정원 주차장(5300면)의 43% 정도 밖에 되지 않아, 방문객 편의를 위한 주차면 확대를 반드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