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대출·한도 인상 미끼로
기존대출 상환 명목으로 편취
신용등급 상향 비용 받아내기도
기존대출 상환 명목으로 편취
신용등급 상향 비용 받아내기도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정부 지원대출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사례가 잇따르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같은 보이스피싱 피해는 6일 기준 총 10건이 발생했다. 이중 기존 대출 상환 명목으로 자금을 편취한 사례가 7건으로 가장 많았다. 신용등급 상향 작업비용을 요구하거나 비대면 대출을 위해 악성 애플리케이션(앱)을 깔게 해 돈을 뜯어낸 사례도 각각 2건과 1건 발생했다.
피해사례를 보면 A씨는 자신을 저축은행 상담원이라고 소개한 사기범의 기존 대출금을 모두 갚아야 금리 우대와 최대 대출 한도를 적용받을 수 있다는 말에 속아 450만원을 이체했다. B씨의 경우 “최근 코로나로 인해 정부지원책으로 소상공인 대출을 진행하고 있다. 귀하는 현재 신용도가 낮아 2000만원을 대출받아 이를 변제하는 방법으로 신용도를 높이면 더 많은 대출이 가능하다”는 말에 속아 2000만원을 사기범에게 이체했다.
금감원은 정부 지원 대출을 받기 위한 기존 대출 상환 권유, 작업비용 이체 요구, 비대면 대출을 위한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요구에는 무조건 응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정부지원 대출은 금융회사 영업점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지역신용보증재단, 기술보증기금 등 정부 산하 기관의 지역센터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회사는 불특정 다수에게 전화를 걸어 정부지원대출 취급을 위해 기존대출 상환을 권유하지 않는다”며 “자금압박 해소가 시급한 국민들의 심리를 이용한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우사기자 woos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