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인협회는 3일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500대 기업 투자계획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68%가 내년 투자계획을 아직 수립하지 못했거나, 투자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계획을 수립했다는 응답은 32%였다. 올해 설문에서 ‘계획 미정’인 기업은 56.2%로 지난해보다 6.9%p 늘었고 ‘계획 없음’(11.4%)도 지난해 대비 6.1%p 늘었다.
투자 계획 미정 기업들은 사유로 ‘조직개편·인사이동’(37.7%), ‘대내외 리스크 영향 파악 우선’(27.5%), ‘내년 국내외 경제전망 불투명’(20.3%) 등을 꼽았다.
내년도 투자 계획을 수립한 기업들도 투자를 ‘줄이겠다’는 응답이 지난해보다 높아져 내년 국내 투자가 다소 위축될 것으로 전망됐다.
투자계획을 수립했다고 응답한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 투자계획 규모를 묻는 질문에는 59.0%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답했고, 올해보다 감소할 것이란 응답도 28.2%나 됐다. 올해보다 내년 투자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12.8%로 ‘감소’ 응답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투자 규모를 줄일 계획이거나, 투자계획이 없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내년 국내외 경제전망 부정적’(33.3%), ‘국내 투자환경 악화’(20.0%), ‘내수시장 위축 전망’(16.0%) 등을 택했다. 또 설문 참여기업 77.8%가 내년 자사 설비투자가 ‘기존 설비 유지·개보수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적극적으로 늘릴 것’이라는 응답은 18.9%에 그쳤다.
국내 기업들은 내년 기업 투자에 영향을 미칠 주요 리스크로 ‘글로벌 경기 둔화’(42.9%)를 가장 많이 꼽았다. ‘고환율 및 물가상승 압력’ ‘보호무역주의 확산 및 공급망 교란 심화’ 등이 뒤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들이 투자계획을 조속히 수립할 수 있도록 금융·세제지원 등 과감한 인센티브로 적극적인 투자를 유인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