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빛 스타트’ 울산, 역도·카누 등서 맹활약
상태바
‘금빛 스타트’ 울산, 역도·카누 등서 맹활약
  • 주하연 기자
  • 승인 2025.05.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재근 울산시선수단 총감독, 김병철 시 교육청 체육예술건강과장, 강신생 울산스포츠과학중고등학교장을 비롯한 본부임원들이 지난 24일 역도경기가 열리는 경남 고성 역도경기장을 찾아 선수들을 격려했다. 울산시체육회 제공
지난 24일 경남 김해에서 개막한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가 대회 2일차로 접어든 가운데 25일 오후 3시 기준 울산시선수단은 금 5개, 은 12개, 동 11개 등 총 28개의 메달을 수확했다.

대회 2일차인 25일 첫 승전보는 카누에서 전해왔다.

김해 카누경기장에서 열린 카누 남자 15세 이하부 K-1 500m 결선에 나선 김민준(스포츠중3)은 2분1초929의 기록으로 경북과 서울을 제치고 금빛 물살을 갈랐다.

K-2 500m 결선에서도 전유찬(스포츠중3)과 짝을 이뤄 대전(1분52초156)에 이어 2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바둑 남자 15세 이하부 단체전에서 김주원(일산중2)·이지훈(방어진중2)·이현성(일산중2)으로 구성된 울산 선발팀은 준결승에서 서울시바둑협회에 0대3으로 패해 3위에 입상했다.

레슬링 남자중학부 그레꼬로만형 80㎏급에서는 권오희(스포츠중2)가 동메달을 추가했다.

복싱 15세 이하부 준준결승에서는 -42㎏급 이국호(농소중3), -50㎏급 이도훈(농소중3), -54㎏급 박재원(방어진중3), -57㎏급 박교영(농소중3), -60㎏급 박주혁(호계중3), -75㎏급 박시우(화암중3) 등 6개 체급에서 모두 승리를 거둬 26일 열리는 준결승에 진출했다.

앞서 대회 첫날인 지난 24일, 울산시선수단의 첫 금메달과 첫 다관왕은 역도에서 나왔다.

이날 고성 역도경기장에서 열린 여자 15세 이하부 59㎏급에 출전한 김근희(스포츠중2)는 인상에서 73㎏을 들어 금메달을 차지했다. 용상에서는 84㎏을 들어 인천 한지민(85㎏)에게 1㎏ 뒤져 아쉽게 은메달에 머물렀지만 합계에서 157㎏을 기록하며 한지민(150㎏)을 제치고 두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여자 15세 이하부 71㎏급 정이진(스포츠중3)은 용상에서 84㎏, 합계에서 146㎏을 들어 올려 2개의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15세 이하부 49㎏급 차민서(동평중2)도 용상에서 71㎏을 들어 충남 신채민(88㎏)에 이어 은메달을 추가했다.

김해 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된 태권도 여자 12세 이하부 -54㎏급 결승에서 박지아(상안초6)는 충북 박정윤을 2대0으로 제압하고 금메달을 따냈다.

남자 12세 이하부 -46㎏급 노준우(문헌초6)는 결승에서 부산 조재현에게 0대2로 패하며 은메달을, 여자 12세 이하부 -42㎏급 박정원(남외초6), 남자 15세 이하부 -53㎏급 박지훈(달천중3)은 각각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유도에서도 3개의 메달이 나왔다. 여자 15세 이하부 -42㎏급 김태희(일산중2), -57㎏급 김소연(스포츠중3)이 값진 은메달을 따냈고, 남자 15세 이하부 -81㎏급 이은혁(스포츠중3)은 동메달을 더했다.

근대3종 남자 15세 이하부 개인전에서 박예찬(스포츠중3)은 합계 907점으로 3위에 입상했다.

펜싱 남자 15세 이하부 에빼 개인전에서 신희창(상안중3)은 준결승전에서 서울 신유빈에게 13대15로 져 동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12세 이하부 3m 스프링보드에서 미트란(구영초6)이 은메달을, 남자 15세 이하부 플렛폼싱크로나이즈드다이빙에서 조강산·조강천(구영중3) 형제가 동메달을 보탰다.

주하연기자 joohy@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