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핵심부에 따르면 취임 두달째를 맞는 이 대통령에게 주어진 외교 분야 최대 숙제를 어깨에 짊어진 만큼 위 실장의 발걸음은 결코 가볍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무엇보다 미국이 제시한 상호관세 유예 기한인 오는 8일이 불과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는 점이 가장 큰 압박이다. 위 실장은 출국 직전 인천공항에서 기자들을 만나 “(한미 간) 협의 국면이 중요한 상황으로 들어가고 있다”며 “제 차원에서 관여를 늘리기 위해 방미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방미에서 한미 정상회담 일정이 구체적으로 논의된다면 이 역시 관세협상에 나름의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실제로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난달 15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직전 취재진에게 “G7 회의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이뤄진다면 관세 문제 실무협상에 (긍정적 결과를 끌어내는) 동력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집권 초반 이재명 정부 외교·안보 정책의 연착륙을 위해서라도 한미 정상회담 조기 성사는 매우 중요하다.
애초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회담을 추진했지만, 당시 중동사태가 겹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급거 귀국하는 바람에 불발됐다. 이후 루비오 장관의 방한을 계기로 양국이 정상회담 일정을 맞춰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루비오 장관의 8일 방한 역시 취소됐다.
이처럼 돌발상황이 겹치며 회담 일정이 계속 지연되자 결국 위 실장이 직접 미국을 찾아 돌파구를 열기로 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