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때문에 내란 혐의 등 여러개의 혐의로 특별검사에 의해 전방위 수사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2차 구속영장까지 청구된 상황에서도 소속 의원들은 기득권에 묻혀 제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 여론이 고조되고 있다.
혁신위원장을 맡은 안철수 의원은 7일 인적 쇄신안을 놓고 지도부와 이견을 보이다 전격 사퇴했다.
안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의되지 않은 날치기 혁신위원회를 거부한다. 대신 전당대회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날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안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6인의 혁신위원회 인선안이 의결된 지 불과 30여분 만이다.
안 의원은 혁신위원장 사퇴를 결심한 핵심 이유로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자신이 제안한 ‘인적 쇄신안’을 거부한 점을 꼽았다.
인적 쇄신 대상의 구체적 이름과 그 방법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권영세 전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전 원내대표 등 당시 지도부 인사의 출당 또는 탈당 조치 등을 안 의원이 송 위원장에게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의원은 이날 비대위가 자신과 협의가 완료되지 않은 혁신위원 일부를 일방적으로 발표했다고도 주장했다.
앞서 안 의원과 송 비대위원장은 안 위원장을 제외한 혁신위원 6명 중 원내외 인사 각각 1명을 두고 의견 교환을 해왔는데, 지도부가 이중 합의되지 않은 원외 인사 1명을 포함하고 원내 인사 1명은 공석으로 둔 인선안을 이날 일방적으로 의결했다는 게 안 의원의 주장이다.
이에 송언석 원내지도부는 다시 원점에서 혁신위 구성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내 비주류에선 ‘구주류’(친 윤석열) 측이 기득권을 끝까지 사수하기 위한 수작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상대적으로 높다”면서 “당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한 피나는 노력이 없는 한 공멸 위기로 치닫게 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고 전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