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민주당 등에 따르면 두 후보 모두 내년 6·3 지방선거 과정에 당원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하며 표심 다지기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정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원 주권 정당 개혁 토론회’에 참석, “강한 정당은 가장 민주적인 정당이고 가장 민주적인 정당은 당원들의 권리가 최대한 보장되는 정당”이라고 했다.
그는 “대한민국 모든 선거는 1인 1표다. 그런데 우리 당은 그렇지 못한 현실이 계속되고 있다”며 정당 운영 시스템 개선 의지를 피력했다.
정 의원은 “10여년 전 당헌·당규라면 당 대표 출마를 엄두도 못 냈을 것이다. 선거 규칙을 권리당원 50%·중앙위원 50%로 개정해야 한다고 10년 넘게 주장했는데 이재명 대표 체제에서 바로잡혔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국회의원 오더가 통하지 않는 그야말로 당원이 주인 역할을 하는 당헌·당규로 개정돼 가고 있다. 당 대표가 되면 공정한 경선 기회의 장을 보장하겠다”고 공약했다.
정 의원은 또한 지역 정당 조직인 지구당 제도에 대해서도 “당연히 부활돼야 한다. 지역위원회에서 쓸 수 있는 비용도 합법적으로 충당할 수 있는 후원 제도 마련도 너무나 시급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박 의원은 지난 5일부터 ‘호남 일주일 살기’ 프로젝트 중인 가운데 프로젝트 마지막 날인 9일 전남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방선거 공천에 당원 참여를 보장하겠다”며 ‘당원 주권’을 강조했다. 그는 “이재명 당 대표 시절 최고위원과 원내대표로 당원 주권 시대를 위해 노력했다. 경선 개혁으로 총선 승리를 견인했다”며 당선 즉시 ‘지방선거 기획단’을 출범시켜 당원이 직접 참여하는 공천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박 의원은 이와 함께 전남의 에너지 거점 도시화를 비롯해 전남형 공공의대 모델 완성, ‘여수 석유화학 특별법’ 제정 추진 등 지역 맞춤형 공약도 제시했다.
박 의원은 나아가 본인이 대표 발의한 ‘내란특별법’에 대해 “내란 종식의 종합적 법적 장치다. 윤석열 김건희 내란 청문회도 열어 국민과 함께 완전한 내란 종식을 성공시키겠다”고 했다.
박 의원은 이와 함께 자신의 지지도가 의원들 사이에서 크고 당원들 사이에선 정 의원에 밀린다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 “제가 의원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는 건 사실이지만 민주당에서 의원과 당원의 마음은 구분될 수 없다”고 부연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