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의대생의 복귀 시점, 울산대를 비롯한 각 대학의 학사일정 정상화 방안이 구체화되지 않아, 장기간 이어진 의정 갈등 해소에는 변수가 남아 있다.
13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지난 12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국회 교육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대한의사협회와 함께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입장문’을 내고 “국회와 정부를 믿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감으로써 의과대학 교육 및 의료체계 정상화를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전원 복귀 선언은 이달 말 의대의 미복귀 의대생 학사 처분을 앞두고 이뤄졌다.
앞서 의대생들은 지난해 2월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일제히 휴학계를 내고 학교를 떠났다. 이후 대다수가 올해 1학기 수업도 불참하는 등 1년 반가량 학업을 중단했다.
울산대 의대생은 전국 의대생 중에서도 강도 높은 휴학 기조를 보였다. 올해 신입생마저 수강신청을 하지 않고 선배들을 따라 학교에 나오지 않았다.
울산대는 개강을 연기하고 학장이 학생 면담에 적극 나서는 등 의대생 회유에 집중했다.
하지만 지난 5월 대규모 유급이 현실화했고, 상당수 울산대 의대생이 유급 확정 통보를 받았다. 제적 대상은 없었다.
이런 가운데 수업을 듣지도 않으면서 1학기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울산대 의대생이 79명에 달하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지역 환자들 사이에서는 의대생과 의료인들의 자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울산대는 일련의 상황을 주시하며 학사 운영 일정 등을 검토하고 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