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국토교통부는 ‘2025년 상반기 특화 주택 공모 사업’을 통해 전국 14곳에 1786채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특정 계층에게 거주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사회복지시설, 돌봄공간, 공유 사무실 등도 함께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어서 입주자의 만족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형은 고령자 복지 주택, 일자리 연계형 지원 주택, 청년 특화 주택, 지역 제안형 주택 등 총 네가지다. 이 가운데 지난해 하반기에 도입한 지역 제안형 주택은 지자체가 입주 요건 등을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4월7일부터 6월8일까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했다. 이어 제안서 발표, 평가 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대상지를 결정했다.
공급 물량은 고령자 복지 주택 368채(4곳), 일자리 연계형 지원 주택 159채(3곳), 청년 특화 주택 176채(3곳), 지역 제안형 특화 주택 1083채(4곳)다. 사업지로 뽑힌 지역은 울산을 비롯해 경기 광명·동두천·부천·포천, 강원 삼척, 전북 고창·부안, 제주 서귀포다.
울산 동구 서부동 일원과 울주군 선바위공공주택지구(A-1)에는 고령자 복지 주택이 각각 114채와 100채씩 건립된다.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가 입주 대상이다. 안전 손잡이 등 주거약자용 편의시설이 적용된 임대주택이 제공되며 사회복지시설도 설치된다.
아울러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에는 인근에 자리한 울산대 재학생 등을 위해 청년 특화 주택 36채가 공급될 예정이다. 공유 거실, 공유 주방, 공유 사무실, 계절 창고 등의 시설도 지원한다.
울산은 일자리 연계형 지원 주택 부문에서도 선정됐다. 울주군 온산읍 덕신리 1370에 들어설 주거 공간 규모는 36채다. 주변에 있는 온산국가산단 근로자의 주거 여건 개선을 위해 추진됐다. 가까운 거리에 행정복지센터, 온산문화체육센터 등이 있어 생활 여건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토부 관계자는 “선정된 지역에서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등의 절차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지원하겠다”면서 “앞으로 사업 설명회, 맞춤형 조언, 홍보 등도 병행해 특화 주택 사업이 더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