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대표는 이날 간담회를 주재하면서 “반도체특별법이 조속히 국회를 통과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반도체는 한국 경제의 든든한 기둥이자 국민 모두의 자부심으로, 반도체가 살아야 한국 경제가 산다는 말도 과언이 아닐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과 유럽, 일본이 앞다퉈 반도체 지원 정책을 내놓고 있는 만큼 우리도 더는 지체할 필요가 없다. 국가 차원의 전폭적 지원과 투자로 산업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세계 1등 반도체 국가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한 만큼 당이 이를 확고히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반도체특별법에 ‘주 52시간 근로시간 제한 예외’를 명시하는 문제를 놓고 여야 간 이견이 불거지며 법안은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이 대통령 역시 대선 기간 특별법 제정을 약속하면서도 주 52시간 예외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정 대표는 간담회 취재진과 만나 “여야 간 주 52시간, 그게 좀 문제가 됐었는데 그 부분이 해결돼 가는 것 같다. 빨리 특별법을 통과시켜서 반도체산업 육성에 도움을 주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향엽 대변인은 “장관 고시로 특별연장근로 허가 제도 기간을 3개월에서 6개월로 이완시켰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현장에선 그 정도로 했을 때 인허가 등에 큰 어려움은 없는 듯하다”고 설명했다.
고용노동부 장관 고시로 특별연장근로를 더 유연하게 적용하는 절충안을 적용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이날 삼성전자 측도 경쟁국인 중국의 반도체 보조금 지원 사례를 거론하며 조속한 반도체특별법 처리와 불필요한 중복 규제 개선 등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취임 후 첫 산업 현장 방문으로 삼성전자를 찾은 정 대표는 눈에 띄게 기업 친화적인 메시지를 내기도 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