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시당위원장 김태선)은 지난 18일 울산시당 대회의실에서 정원식 전국화학노련 울산본부 의장을 비롯해 백기태 울산미포산단 노조협의회 의장, SK이노베이션·S-OIL·대한유화·롯데케미칼·한화솔루션·애경케미칼 등 주요 사업장 노조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울산 석유화학산업 위기 대응 추진위원회 정책간담회’를 열고 주력산업 위기와 고용불안 문제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참석자들은 정부가 지난 8월 발표한 구조조정 계획이 설비 감축과 통합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노동계 참여가 배제되고 노동자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리해고와 인력감축 중단 △노동계가 참여하는 ‘정의로운 산업전환’ 보장 △울산의 산업·고용 위기 대응 지역 조속한 지정 △노사민정에 국한되지 않는 여야·시민사회 협의체 상시 가동 등을 주요 요구사항으로 제시했다.
정부는 지난 5월 전남 여수를 산업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8월에는 충남 서산을 같은 지역으로 지정했으나 국내 최대 석유화학산업단지인 울산은 여전히 제외됐다. 울산시는 정량적 지표 충족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여수와 서산의 사례와 비교하면 미흡한 대응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에 민주당 울산시당은 지난 8월 지역 석유화학 노동계에 공동 대응을 제안해 ‘울산 석유화학산업 위기 대응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면서 이번 간담회가 성사됐다.
민주당 김태선 울산시당위원장은 “울산 석유화학산업은 지금 큰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며 “석유화학산업 위기는 시민 생존권이 걸린 문제로, 산업 재편 과정에 반드시 노동계의 참여가 보장되고 고용안정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전국화학노련 울산본부 의장(위기대응추진위원장)도 “여수와 대산은 이미 산업·고용 위기 대응 지역 지정으로 수천억원의 지원을 받고 있지만 울산은 여전히 방치돼 있다”며 “울산 노동자가 또다시 일방적 희생을 강요받지 않도록 정치권이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노동계, 경영계, 울산시가 참여하는 토론회를 제안하고, 중앙정부와 여야 정치권을 상대로 한 협의와 제도적 대응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전상헌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