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백종범 교수팀이 빠르게 구르는 구슬의 기계적 충격과 마찰을 이용해 아산화질소를 분해하는 공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화학적으로 굉장히 안정해 기존 열촉매 공정으로는 445℃ 이상 고온을 가해야만 유의미한 분해가 가능한데, 이 과정에서 에너지 소모가 크다.
연구팀은 지름 수㎜의 구슬을 넣은 반응용기(볼밀)에 니켈산화물 촉매와 아산화질소 가스를 함께 넣고 흔드는 방식을 사용해 아산화질소를 분해해 냈다.
구슬의 충돌과 마찰로 니켈산화물 촉매 표면에 고밀도 결함과 초산화 상태가 형성되는데, 이 덕분에 기존 열촉매로는 불가능했던 저온·고속 분해가 가능하다. 실험 결과, 이 공정은 42℃에서 99.98%의 전환율로 시간당 1761㎖의 아산화질소를 분해했다. 이는 동일한 촉매를 사용한 열촉매 공정(445℃, 49.16% 전환율, 294.9㎖)에 비해 6배 이상 높은 에너지 효율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차량과 화학공장에서 쓸 수 있는지도 검증했다. 차량 디젤 엔진을 모사한 실험 장치에서는 아산화질소가 95~100% 제거됐으며, 대규모 가스 처리 성능을 검증하는 연속식 공정에서 약 97.6%의 전환율을 확보했다. 또 실제 공정이나 차량 배기가스처럼 산소와 수분이 함께 섞여 있어도 안정적인 분해 성능을 보였다. 경제성 분석에서도 기존 열촉매 공정 대비 8배 이상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재료·에너지 분야 세계적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 온라인판에 지난 9월26일자로 공개돼, 정식 출판을 앞두고 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