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산업형 AI 생태계 강화 박차
상태바
울산, 산업형 AI 생태계 강화 박차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5.10.24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7조원 규모의 SK텔레콤·아마존웹서비스(AWS)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이어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를 추진했지만 결국 불발됐다. 그러나 시는 이를 계기로 산업 중심 AI 생태계 강화와 ‘AI 수도 울산’ 도약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울산시는 지난 21일 마감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사업 공모에 울산시와 협의해 온 기업이 컨소시엄 구성의 어려움과 사업성 부족 등을 이유로 참여하지 않았다(본보 10월22일자 1면)고 23일 밝혔다.

국가 AI컴퓨팅센터 사업은 대규모 AI 학습을 위한 국가급 인프라를 조성하는 핵심 프로젝트지만, 민간기업의 투자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는 “민간기업의 사업 판단에 따른 불참일 뿐 시의 AI 비전에는 변함이 없다”며 “정부 정책과 보조를 맞추며 실질적인 산업형 AI 거점 도시로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울산은 조선·자동차·화학·비철금속 등 주력산업의 방대한 현장 데이터, 원전·LNG·수소·해상풍력 등 안정적인 전력 인프라, UNIST를 비롯한 첨단 연구 기반을 바탕으로 AI 실증과 데이터 활용 역량을 빠르게 확장 중이다.

특히 지난 6월 착공한 SK텔레콤·AWS의 AI 데이터센터 건립으로 울산은 국내 최초의 민관 협력형 초대형 AI 인프라를 확보했다. 이는 지자체와 기업이 역할을 분담하는 새로운 협력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앞으로 시는 과기정통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와 협력해 △정부의 ‘AI 고속도로’ 전략에 부응하는 제조 AI 특화 인프라 확충 △민간 데이터센터 활용 확대 △AI 전문인력 양성 및 기업 AI전환 지원 등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또 지난 9월 출범한 ‘유넥스트(U­NEXT) AI포럼’에서 제시한 ‘울산형 소버린 AI 집적단지(2027~2033)’ 조성 사업에도 속도를 낸다. 이 사업은 △제조현장 AI 실증·확산 △지역기업 AI 역량 강화 △전주기 인재양성 △AI 데이터센터 연계 등을 핵심 과제로 하며, 내년 상반기 구체적인 사업 모델을 확정할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의 산업형 AI 전략은 계속된다”며 “민·관이 함께하는 협업 모델을 강화해 대한민국 AI산업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특집]추석 황금연휴, 울산에서 놀자
  • [오늘의 운세]2025년 10월20일 (음력 8월29일·임술)
  • 3대 대형마트 추석당일에도 영업, 백화점은 추석 전후 이틀간 휴무
  • 울산 여야, 차기 시장선거 준비체제 전환
  • 한가위 보름달, 구름사이로 본다
  • 황금빛으로 물든 가을들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