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장애인 자살률 높은 울산, 특화된 건강보건정책 시급하다
상태바
[사설]장애인 자살률 높은 울산, 특화된 건강보건정책 시급하다
  • 경상일보
  • 승인 2025.10.2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장애인 자살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이 발표한 ‘2025 장애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울산지역 장애인의 자살 조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74.1명으로, 전국 평균(56.7명)을 크게 웃돌았다.

울산의 장애인 자살률은 개인의 불행으로만 설명하기 어렵다. 복지 인프라, 정신건강 지원체계, 경제적 자립 여건이 동시에 취약한 구조적 문제 때문이다. 울산의 등록장애인 비율은 2015년 이후 9년 연속 증가했지만, 그에 걸맞은 복지 인프라는 제자리걸음이다. 특히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울산만 유일하게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이라는 점은 심각하다.

산업도시 특성 또한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자동차·조선 등 중공업 중심 산업구조는 경기 변동에 따른 고용 불안이 크고, 산업재해로 인한 후천적 장애 발생률도 높다. 통계청과 보건복지부 자료에서도 경제적 어려움과 건강 악화가 장애인 자살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울산의 산업·복지 불균형이 장애인의 삶을 벼랑 끝으로 몰아넣고 있는 것이다. 특히 고령 장애인, 산업재해 장애인, 1인 가구 비율이 높은 울산은 사회적 고립이 심각하지만, 이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심리상담이나 재활 프로그램은 거의 전무하다.

이번 통계는 장애유형별로도 심각한 경고음을 낸다. 정신장애인은 10만명당 144.2명, 뇌전증 장애인은 142.3명, 호흡기 장애인은 136.2명 수준으로, 만성질환과 정신건강 문제가 복합적으로 얽힌 고위험군임을 보여준다. 울산은 이들에 대한 전문 의료서비스나 위기 개입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일반 시민 중심으로 운영되는 정신건강복지센터만으로는 장애인의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장애유형과 연령대별 특성을 반영한 상시적 돌봄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울산은 ‘산업수도’의 이름에 걸맞게 복지에서도 선도적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 장애인 자살률이 높은 현실은 공동체가 취약한 구성원을 얼마나 방치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사회적 경고다. 울산시는 장애인 자살 원인에 대한 정밀 분석을 토대로 지역 단위 생명안전망을 재정비해야 한다. 장애인 건강보건기관을 신속히 설립하고, 의료·복지·고용·주거가 연계된 통합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와 보건소, 민간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조기 발굴 체계 또한 절실하다. 울산이 진정한 포용도시로 거듭나려면, 산업의 성장만큼이나 인간의 존엄을 지키는 복지의 토대부터 바로 세워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특집]추석 황금연휴, 울산에서 놀자
  • [오늘의 운세]2025년 10월20일 (음력 8월29일·임술)
  • 울산 여야, 차기 시장선거 준비체제 전환
  • 옥교동한마음주택조합 8년만에 해산 논의
  • 한가위 보름달, 구름사이로 본다
  • 황금빛으로 물든 가을들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