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4일 찾은 금천교 하부에는 여러 동의 텐트가 다리 기둥 사이로 줄지어 설치돼 있었다. 천막 안팎에는 식탁과 의자, 보관 상자, 플라스틱 통이 어지럽게 놓여 있고, 일부 기둥에는 비닐봉지와 줄이 매달려 있었다.
사실상 임시 주거 공간처럼 보이는 이 시설은 다리 아래 전 구간에 걸쳐 이어져 있었다. 지나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발걸음을 멈출 만큼 지저분한 모습이었다. 텐트 주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냄새가 올라왔다.
인근 주민 A씨(64)는 “여름에는 시원하다고 사람들이 와서 앉아 있었는데, 이제는 아무도 오지 않는다. 대신 냄새만 남았다”고 말했다.
주민들에 따르면 금천교 하부의 불법 시설물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여름 피서철이 지나면 치워질 줄 알았던 텐트가 해마다 같은 자리에 남아 있고, 철거를 기다리던 주민들은 이제 체념한 상태다.
주민 B씨(58)는 “작년 여름에도 똑같은 텐트가 있었고, 옆에 탁자며 의자까지 그대로 있었다. 비가 오거나 장마철엔 다 젖은 채 방치돼 보기에도 흉하고 냄새가 심했다”며 “강동천 산책로와 연결돼 주민이 자주 다니는 곳인데, 악취와 벌레가 심하고 버려진 생활쓰레기가 풀밭으로 흩어져 보행을 꺼리는 사람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북구는 최근 ‘하천변 특정인 독점 불가’ 현수막을 부착하고, 두차례 고시를 발송했다. 하지만 행정 절차상 즉각적인 철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북구 관계자는 “여름철 하천변 불법 점유와 시설물 설치가 반복되고 있어 행정대집행을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며 “자진 철거 고시를 두 번 내고, 이후 행정대집행 예고를 두 차례 해야 해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행정 절차를 진행 중”이라는 답변이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지난해부터 사실상 같은 형태로 텐트촌이 유지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철거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북구 관계자는 “현장을 여러 차례 점검했다”며 “자진 철거가 가장 바람직해 기한을 두고 기다리는 중이며, 올해 안에 철거되지 않으면 행정대집행을 통해 정비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글·사진=김은정기자 k2129173@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