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인협회는 28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1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를 발표했다.
다음달 국내기업 BSI 전망치는 전달대비 1.5p 하락한 94.8을 기록했다. BSI가 기준치인 100보다 높으면 전월 대비 경기 전망이 긍정적이고 100보다 낮으면 부정적이라는 의미인데, BSI 전망치는 2022년 4월(99.1)부터 3년8개월째 기준선인 100을 밑돌고 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96.8)과 비제조업(92.8) 모두 4개월째 동반 부진했다. 제조업 BSI는 지난해 4월부터 1년8개월 연속, 비제조업 BSI는 올해 8월부터 4개월째 연속 기준선 아래에 머물렀다.
이달 들어서는 제조업 BSI는 10월(96.8)과 같았으나 비제조업 BSI가 전월 대비 3.0p 하락하면서 전체 기업 심리가 나빠졌다.
한경협은 환율 급등으로 인한 수입 물가 상승과 소비심리 위축, 10월 추석 명절 특수 소멸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제조업에서는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120.0)와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107.1)이 호조를 나타냈다.
자동차·선박 및 기타 운송장비를 제외한 의약품(75.0), 비금속 소재 및 제품(78.6) 등 나머지 업종은 부진이 전망됐다.
비제조업에서는 정보통신(112.5), 전문, 과학·기술 및 사업지원 서비스(106.7), 전기·가스·수도(105.3)를 제외한 운수 및 창고(80.8) 도소매 유통(86.4) 등 기타 4개 업종은 부진할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부문별 BSI는 내수(97.6)·수출(94.2)·투자(91.6)를 비롯한 전 종목이 부정 전망을 이어갔다. 전 부문 부진은 지난해 7월 이후 1년5개월 연속 이어졌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외환 변동성 확대, 대외 공급망 불안 등이 우리 기업의 어려움을 가중하고 있다”며 “원화 가치 안정화 노력과 함께 공급망 다변화, 통상리스크 해소 등을 통해 기업 심리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